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韓 빅데이터 플랫폼 "인기 데이터 20% 불과… 전담인력도 부족"

국회 입법조사처 "이용자 접근성 완화와 플랫폼 정착까지 지원 연장 필요"

 

【 청년일보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지난 2019년부터 정부가 야심 차게 시작한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질의 데이터 부족과 이용자 접근성 문제, 전문인력 부족 등 여러 문제의 해결이 시급해 보인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지난 7일 '빅데이터 플랫폼의 운영 실태와 개선과제'를 주제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현재 운영 중인 10개 빅데이터 플랫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데이터 거래·유통이 이뤄지는 인터넷 공간'이다. 데이터를 보유한 기관이 자신의 데이터 상품을 빅데이터 플랫폼에 등록하면, 수요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해 데이터 상품을 검색하고 유상 또는 무상으로 구매할 수 있다.

 

플랫폼은 구매자가 쉽게 데이터 상품을 검색해 구매하도록 빅데이터 센터가 등록한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결합·분석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진행한다. 사업비 규모는 1500억 원 수준이며 2020년 8월 기준으로 비씨카드, 한국수자원공사, KT, 국립암센터 등 10개 빅데이터 플랫폼이 운영 중이다.

 

 

조사 결과 10개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구매할 수 있는 데이터 상품의 수는 약 6500건이었다. 일부 인기 데이터는 조회 및 다운로드가 활발히 이뤄지지만 전반적으로 데이터 상품의 조회 및 다운로드 건수가 적었다. 조회 수 대비 다운로드 수 비율은 0.2에 불과했다.

 

입법조사처는 "80%의 데이터 상품은 수요자가 막상 열어보니 기대했던 내용과 달라서 다운로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용자의 기대 수준과 실제 데이터의 내용·품질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0대 플랫폼 분리 체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이러한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형성 초기에 분야별 전문성을 살려 빅데이터 유통망을 조기 정착시키기 위함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데이터 검색, 구매, 활용하는데 불편함이 존재한다.

 

입법조사처와 현장 근무자들은 플랫폼 분리 운영은 유지하면서 이용자가 통합적으로 검색, 구매할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담인력의 부족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현재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주체는 일반적으로 5~15명의 인원이 업무 담당하는데, 대부분 전담부서와 전담인력을 신설하지 않고 계약직이나 기존에 빅데이터 업무를 담당하던 조직이 겸무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전담부서 및 전담인력을 두는 경우에도 전담인력의 비율이 낮고 타 부서의 파견직, 계약직·임시직을 많이 활용 중이다. 계획상으로 2021년에 지원이 종료되는 3년간 프로젝트 사업이라 운영주체에서 별도의 전담부서를 편성하는데 소극적이라고 입법조사처는 평가했다.

 

빅데이터 플랫폼 자체 수익(이윤)이 없는 상황이라 시장 정착이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플랫폼별로 데이터 판매 수입(매출액)은 발생하지만 그 수입은 모두 데이터를 제공한 센터로 배분되고 있다. 플랫폼이 센터에 중개수수료를 요구하기에는 데이터를 제공할 유인이 크지 않아 쉽지 않은 상태다.

 

현재는 정부가 매년 플랫폼별로 10억 원의 운영비를 지원하나 이 자금은 센터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관리·거래·유통에 대부분 투입되고 있다.

 

입법조사처는 "3년간의 재정 지원은 빅데이터 플랫폼이 자생적으로 정착하는데 다소 짧은 기간"이라면서 "2019년 하반기에 사업을 시작해 2020년부터 본격적인 데이터 유통을 하고 있는데 2021년에 정부 지원을 중단하고 자생적 운영으로 전환하는 것은 플랫폼 입장에서 큰 부담"이라고 밝혔다.

 

이어 "후속지원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3년간 누적된 데이터 유통 경험과 실적 손실이 예상된다. 엄격한 재평가와 보완조치를 거쳐 플랫폼이 정착할 때까지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조언했다.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