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사고, 공공·민간 발주 '반반'…사망자는 민간이 '압도'

등록 2025.08.24 10:40:00 수정 2025.08.24 10:41:25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대형 현장일수록 사고·인명피해↑…안전수칙 미준수 80% 차지
철근콘크리트 공사 사고 최다…철골·철거 공사도 치명률 높아

 

【 청년일보 】 지난해 발생한 건설사고가 공공기관 발주와 민간 사업 현장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사망자는 민간 발주 현장에서 크게 많아 대형 민간 공사의 안전 관리가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4일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이 발간한 '국토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발주청이나 인허가기관이 보고한 건설사고는 총 6천180건이었다. 이 중 공공 발주 공사가 3천82건(49.9%), 민간 발주가 3천98건(50.1%)으로 사실상 차이가 없었다.

 

인명피해는 공공 3천121건, 민간 3천124건으로 비슷했지만, 사망자는 공공 74명, 민간 121명으로 민간이 훨씬 많았다. 부상자는 공공이 3천47명, 민간은 3천3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공사 건수를 고려하면 사고율은 민간이 높았다. 지난해 공공 발주는 8만7천616건, 민간은 7만5천283건이었는데, 사고율은 공공 3.5%, 민간 4.1%로 나타났다.

 

특히 공사비 규모가 클수록 사고와 인명피해가 집중됐다. 1천억원 이상 대형 현장에서만 2천87건의 사고가 발생해 41명이 숨지고 2천67명이 다쳤다. 이 가운데 민간 발주 현장은 1천527건으로 공공(637건)의 두 배를 넘었다.

 

다만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구간은 '공사비 10억~50억원대'로, 총 53명이 숨지고 687명이 부상했다. 이는 중규모 현장에서도 관리 사각지대가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업계에 따르면, 발주처가 공공이냐 민간이냐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에 큰 차이는 없다. 실제로 최근 세종안성고속도로 교량 붕괴사고도 한국도로공사 발주·현대엔지니어링 시공 현장에서 발생했다. 직접 원인은 하도급사의 전도 방지시설 제거였지만 발주처·시공사의 관리 부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사고 유형별로는 임시시설 관련 사고가 1천644건(26.6%)으로 가장 많았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49명, 부상자는 1천612명이었다. 건설기계 사고는 351건에 불과했지만 사망자만 44명으로 임시시설에 이어 두 번째로 치명적이었다.

 

사고 원인에서는 안전수칙 미준수가 5천건(80.9%)을 차지해 압도적이었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129명, 부상자는 4천906명에 달했다.

 

공종별로는 철근콘크리트 공사가 1천786건으로 사고가 가장 많았다. 사망자는 28명, 부상자는 1천773명이었다. 철골공사는 232건에 불과했지만 사망자가 22명으로 치명률이 높았고, 해체·철거공사도 268건 중 14명이 숨져 위험성이 큰 공종으로 꼽혔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