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금일 산업계에서는 한국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를 지속할 경우 2050년까지 일자리 226만 개의 창출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와 애플이 국내 3번째 애플스토어 매장의 디자인을 공개했다는 소식이 주목을 받았다.
네이버가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대체불가토큰(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 넥스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NFT 분야 협업을 모색한다. 네이버는 국내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편리한 NFT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밖에 넥슨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초대형 옥외 광고를 내걸었다는 소식과 넷마블이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 'MBX'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 韓 탄소중립 일자리 창출 효과… "2050년, 226만 개"
미국 매사추세츠대 산하 정치경제연구소(PERI)는 '한국 에너지 대전환의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보고서 17일 발표.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 국내 순배출량 0(넷제로)을 달성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전망 다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맞춘 청정에너지 투자를 지속할 경우 2050년까지 최대 226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 2022~2030년은 81~86만 개, 2031~2050년엔 110~140만 개.
창출되는 일자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는 분야는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2030년까지 최대 61만 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만들어질 것으로 예측. 에너지를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줄어드는 일자리 수는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
◆ "국내 3호 애플스토어 오픈 임박"… 애플, '애플 명동' 디자인 공개
애플은 17일 국내 애플스토어 3호점 '애플 명동' 매장의 외벽 바리케이드 디자인 공개. 이 디자인은 18세기 후반 조선시대 학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던 '책가도'를 바탕으로 삼아. 책가도는 책장과 서책, 문방구, 골동품 등을 그려 넣은 그림.
애플 측은 책가도 각 칸에 애플만의 특징을 살려 창의성을 뽐내고 있는 사람들과 애플 제품·서비스로 소통하는 에너지를 재현했다고 설명.
애플 명동의 위치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근방 센터포인트명동 빌딩. 애플은 이 매장의 개소 시점을 밝히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다음 달 중 문을 열 것으로 전망.
◆ "편리한 NFT 경험 제공"…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
라인 넥스트는 지난 16일 게임, 엔터테인먼트, 아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 26개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NFT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는 계획 선언.
네이버는 라인 넥스트에서 개발 중인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에 네이버의 기술 및 콘텐츠를 결합해 국내 사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고 편리한 NFT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 밝혀.
도시는 NFT 제작, 발행, 마케팅, 거래까지 모두 가능한 올인원 글로벌 NFT 퍼블리싱 플랫폼으로, 해당 플랫폼에서 전 세계의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손쉽게 NFT 브랜드 스토어와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NFT 제작 및 마케팅 지원 가능.
양사는 ▲네이버 ID 기반의 블록체인 월렛 환경 ▲네이버페이를 통한 NFT 결제 환경을 도시 플랫폼에 연내 구축하는 한편 ▲네이버 NOW 등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분야 NFT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
◆ 넥슨, 강남구 일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초대형 옥외 광고 공개
넥슨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공식 유튜브에서 강남구 일대에 설치한 초대형 전광판의 현장 모습을 담은 영상 공개. 영상은 던파 모바일의 버프 요정이 강남의 주요 빌딩을 날아다니다가 마지막 K-POP 스퀘어 속 세리아 NPC를 만나는 장면을 3D로 연출.
이번 초대형 옥외 광고는 4월 30일까지 ▲코엑스 K-POP 스퀘어 ▲코엑스 H-wall ▲강남역 IS-LIVE ▲포스코사거리 V-PLEX ▲역삼역 현익빌딩 등 강남구 역삼동 테헤란로에 위치한 주요 빌딩 5곳의 전광판을 통해 상영.
넥슨은 오는 24일 구글 플레이 및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던파 모바일을 국내에 정식 출시.
◆ 넷마블,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 'MBX'·'MBX 월렛' 정식 서비스 시작
넷마블은 17일 자체 기축통화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 'MBX'와 'MBX 월렛' 서비스 정식 출시. MBX는 클레이튼 메인넷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로, 게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재미를 강화하고 이용자 참여와 합리적 보상 제공이 선순환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중점.
넷마블은 MBX 오픈과 함께 생태계 내 기축 통화로 활용되는 MBX(토큰) 유통 시작. 이용자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DeFi) 클레이스왑에서 토큰 스왑 방식으로 MBX 거래 가능.
MBX 월렛 애플리케이션도 론칭. 월렛 앱에서는 MBX 보관을 비롯해 광석 등 인게임 재화를 게임 토큰으로 교환하는 기능, MBX와 클레이튼(KLAY) 간 토큰 스왑 기능 등을 지원.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