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MS "코로나 악용 신종 범죄 출현, 작년 국내 사이버범죄 발생률은↓"

멀웨어·랜섬웨어,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암호화폐 채굴 등 국내 위협 최대 75% 감소
코로나19 관련 정보 수요 높아지며 발병 국가 위주로 사이버 공격 위험 증대

 

【 청년일보 】 지난해 국내 사이버위협 발생률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대신 전 세계 확산 중인 코로나19를 악용한 신종 범죄가 출현하는 추세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보안 엔드포인트 위협 보고서 2019 최신판을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 상황을 더욱 잘 이해하고 갈수록 정교해지는 사이버 공격의 영향을 완화해 조직의 사이버 보안 태세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매해 발간된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아태지역 15개국의 멀웨어 및 랜섬웨어,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bD), 암호화폐 채굴 등 사이버 위협 사례에 집중했다. 연구결과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매일 수신한 8조 개의 위협 신호를 포함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됐다.

 

◇ 국내 멀웨어 및 랜섬웨어 발생률 전년 대비 각 39%, 75% 감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태지역은 세계 평균 이상의 멀웨어 및 랜섬웨어 공격 발생률을 보이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한국의 멀웨어 발생률은 2018년 대비 39% 감소한 2.81%로 아태지역 10위를 기록했고, 아태지역 평균 발생률보다 6.5배 낮게 나타났다. 국내 랜섬웨어 발생률은 2018년 대비 75% 감소한 0.01%로 아태지역 11위를 기록하며 아태지역 평균 발생률보다 5배나 낮았다.

 

악성코드 및 랜섬웨어 공격은 불법 복제율이 낮고 사이버 위생이 강화된 국가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MS는 "소프트웨어의 정기적인 패치 적용,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및 업데이트 유지로 감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당부했다.

 

◇ 국내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량 글로벌 평균보다 8배 낮아

 

아태지역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량은 0.08로 전 세계 평균과 동일했다. 한국은 경우 전년 대비 50% 감소해 아태지역 및 전 세계 평균보다 8배 낮은 0.01을 기록했다.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량은 빙이 인덱싱한 1000페이지마다 탐지된 드라이브별 다운로드 페이지의 평균 볼륨으로 측정했다.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은 보안이 취약한 웹사이트에 악성코드를 심어놓고 보안패치가 없는 컴퓨터가 웹서핑만으로도 악성코드에 감염되게 하는 악성코드 유포 방법으로, 주로 공격자가 암호나 금융 정보를 도용하는 데 사용된다.

 

아태지역 내 전반적인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수 감소에도 지난해 싱가포르, 홍콩 등 비즈니스 허브가 지역 및 세계 평균 3배 이상으로 가장 많은 공격을 기록했다. MS는 사이버 범죄자가 금융 정보나 지적재산을 노리는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 암호화폐 가치 변동으로 암호화폐 채굴 탐지율 감소… 코로나19 악용한 공격 증가

 

한국의 암호화폐 채굴 탐지율은 아태지역 8위로 2018년 대비 20% 감소한 0.04%를 기록했다. 아태지역 평균 감소율이 64%인데 반해 한국은 지역 내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MS는 "전반적으로 높은 감소율을 보이는 암호화폐 채굴 기록은 빠른 재정적 이득에 의해 인센티브를 받는 사이버 범죄자들이 최근 암호화폐 가치 변동과 창출에 필요한 시간이 늘어나면서 다른 형태의 사이버 범죄에 집중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MS 인텔리전스 프로텍션 팀은 코로나19 이후 글로벌에서 관련된 공격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발병 국가에서 성공 확률이 높은 공격량이 증가하고 있다.

 

매일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수백만 개의 피싱 메시지 중 약 6만 개에서 코로나19 관련 악성 첨부파일 및 링크가 포함됐다. 공격자들은 주로 세계보건기구(WHO),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보건복지부와 같은 단체를 사칭해 사용자의 메일 수신함에 접근했다.

 

메리 조 슈레이드 MS 아시아 사이버범죄 대응조직(DCU) 책임자는 "최근 사이버 공격자들이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특정 지역, 산업 및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맞춤형 공격으로 전환하는 추세"라며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종합적인 사이버 복원 전략을 개발함으로써 조직은 효과적으로 사이버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