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언텍트 소비확산...배달업 종사자수, 3년 새 2배로 증가

등록 2022.12.27 15:38:02 수정 2022.12.27 16:56:29
오시내 기자 shiina83@youthdaily.co.kr

2019년 상반기 11만9천626명에서 올 상반기 기준 23만7천188명 '급증'
평균 순소득 규모는 286만원...."신속하고 편리하나 배달비용 너무 비싸"

 

 

【 청년일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전염병이 발병한 후 약 3년간 언텍트 소비의 증가로 인해 배달업 종사자수가 무려 2배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소화물배송대행서비스사업(배달업) 실태 조사'에 따르면 배달업에 종사하는 수가 3년 사이 101%(11만7천562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를 비교하면 11만9천626명에서 23만7천188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의 월평균 순소득은 286만원이다. 

 

소비자와 음식점을 중개하는 플렛폼이 37개, 음식점과 지역 배달대행업체를 중개하는 플랫폼이 51개이며 각 지역 배달대행업체는 총 7천794곳이다. 

 

주요 6개 도시 배달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의 근무일은 월평균 25.3일이며 평균 수입은 381만원이다. 이 중 보혐료·렌탈료 등으로 95만원 가량을 지출해 순소득은 286만원 정도다.

가장 많은 순소득을 보인 지역은 서울로 314만원 가량이며 인천(306만원), 광주(274만원), 대전(267만원), 부산(227만원), 대구(220만원) 순으로 이어진다.

 

배달 종사자의 하루 평균 배달 건수는 주중 37.4건,주말 42.3건이었으며 평균 운행 거리는 주중 103㎞, 주말 117㎞였다. 

 

또한 배달 종사자 10명 중 4.3명은 최근 6개월간 교통사고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큰 원인은 응답률 42.8%를 보인 '촉박한 배달 시간에 따른 무리한 운전' 이다. 이 외에도 '상대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41.4%), '배달을 많이 하기 위한 무리한 운전'(32.2%)이 주요 사고 원인으로 꼽혔다.

 

최초 업무 시작시 받는 안전보건교육 이수율은 79%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이 중 72.2가 온라인 교육인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한 질문에 가장 많은 답변은 배달 수수료 체계 개선(43.8%)이었다. 이외에도 노동자 지위 인정(13.7%), 갑질 완화(12.9%), 위험 보상(12.5%) 등이 꼽혔다. 


소비자가 지불하는 배달료에 대해 살펴보면 음식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2천원대가 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3천원대가 31%로 소비자는 음식값의 약 10%를 적정 배달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66%의 소비자가 단건 배송을 선호했으며, 음식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에는 50%가 주문 20~30분 내 도착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배달의 신속·편의성, 선택의 다양성 등에 대해서 54%가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높은 배달료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