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음료시장 '10조원 시대' 개막…'커피·탄산' 이끌고 '제로슈거' 당긴다

등록 2024.05.19 08:00:00 수정 2024.05.22 19:27:15
신현숙 기자 shs@youthdaily.co.kr

2022년 국내 음료류 시장 10조3천억원 기록…2018년 이후 연평균 5.1% 성장세 지속
커피·탄산음료 전체의 절반 이상 차지…건강 중시 트렌드로 제로 슈거 등 인기 급상승
'K-음료 유행' 지난해 수출액 7억8천만달러 상회…중국·미국·베트남·캄보디아·러시아 순

 

【 청년일보 】 국내 음료시장이 10조원을 넘어섰다. 커피와 탄산 등 일반적 음료가 견조한 실적을 보이는 가운데 제로슈거 등 최근 트렌드 제품이 전체 성장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국내 음료류 시장규모는 지난 2022년 10조3천210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2018년 이후 연평균 5.1% 성장세를 보이는 중이다. 


실제로 국내 음료류 시장규모는 2018년 8조4천460억원에서 2021년 9조5천830억원으로 성장하다가, 마침내 2022년 10조원을 상회했다.

 

 

이와 관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FIS)는 커피, 탄산음료, 액상차 등 대부분 음료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즉석음료(RTD), 저칼로리, 제로슈거 등이 수요를 견인하며 전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전체 음료 시장 중 커피(30.8%)와 탄산음료(25.5%)가 높은 점유울을 보였다. 


2022년 국내 음료류의 소매유통별 판매 비중은 편의점이 56.1%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어 독립슈퍼 15.7%, 대형할인마트 11.3%, 체인슈퍼 8.7%, 일반식품점 7.7% 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같은 기간 국내 상위 20대 기업의 점유율은 63.9%를 기록했다. 이 중 롯데칠성음료가 20.1%로 1위를 차지했다.


최근 롯데칠성음료는 건강을 중시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에 발맞춰 마운틴듀 제로슈거 블루, 게토레이 제로, 탐스제로 멜론향 등 다양한 제로 칼로리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시장점유율 2위는 동서식품(10.2%)이었다. 동서식품은 맥심 티오피, 스타벅스 RTD 등 음료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코카콜라음료(9.9%), 매일유업(3.3%), 동아오츠가(2.6%)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음료시장의 성장세는 견조할 것으로 전방된다. 특히 지난해 국내 음료류 수출액은 7억8천450만달러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이는 전세계적인 K-콘텐츠 인기로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 노출된 국내 음료에 대한 해외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건강한 이미지를 보유한 한국 음료가 최근 건강 중시 트렌드에 부합하며 수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음료류 주요 수출국은 중국(26.8%), 미국(13.2%), 베트남(8.4%), 캄보디아(7%), 러시아(4.7%) 등 순이다.


음료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K-푸드가 유행하며 K-음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내수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앞으로도 글로벌시장에 진출하는 기업이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