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전날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활주로 인근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의 방위각 시설(Localizer)이 사고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해당 시설이 국내 여러 공항에 설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는 참사 기종인 보잉 737-800에 대해서는 국내 항공사를 상대로 우선 특별점검을 진행해 정비 체계를 면밀히 들여다볼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무안 공항의 방위각 시설은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약 251m 거리에 위치하며,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비슷한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돼 있다"고 설명했다.
방위각 시설은 항공기가 활주로에 정확히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세워져 있다.
일각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방위각 시설이 국내외 항공안전 규정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방위각 시설은 금속 구조물이 사용되며, 콘크리트와 같은 돌출된 재질은 매우 드물다.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는 착륙 도중 해당 시설과 충돌한 뒤 담벼락에 부딪히며 기체가 두 동강 나는 참사로 이어졌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방위각 시설의 설치는 규정에 따라 이루어진다"며 "재질과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이번 사고와의 연관성 여부를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사고에 사용된 보잉 737-800 기종에 대해 국내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 기종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주력으로 운용 중이며, 제주항공이 39대로 가장 많고 티웨이항공(27대), 진에어(19대) 등에서도 다수 운항하고 있다.
특별점검에서는 항공기 운항 전후 점검 기록 및 정비 체계를 중심으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 검토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가동률을 비롯해 항공기 운항 전후 이뤄지는 점검과 정비 등 기록 등에 따라 여러 규정이 잘 준수되고 있는지 들여다볼 계획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사고기의 비행자료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를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송해 분석을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 조사에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기체 제작사인 보잉, 엔진 제작사 CFMI도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이 사고 원인으로 거론되면서 신공항 건설 시 관련 규정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밖에도 국토교통부는 조류 충돌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정을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전문가와 함께 보완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