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서울시가 싱크홀(땅 꺼짐) 피해 예방을 위해 올해 전국 최초로 '지반침하 관측망'을 시범 운영한다. 또 지하안전관리 업무를 보강하고자 '도로혁신TF'를 신설해 가동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지반침하 예방 종합 개선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최근 잦은 지반침하 발생으로 시민 불안감이 커지면서 마련됐다.
지난해 8월 연희동 성산로에서 2명이 중상을 입은 지반침하 사고가 난 데 이어 종로5가역 인근, 고려대역 인근 등지에서 지반침하가 잇달아 일어난 바 있다.
서울시 대책은 지반침하 예방에 신기술을 적극 적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역별 지반침하 가능성을 평가한 후 시설물 우선 정비의 필요성을 등급화해 도면화한 자료인 '우선정비구역도'를 올해 본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정비구역도는 작년 말 구축을 완료했으며, 자치구 등 관련 부서에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반 변동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도 처음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지반 내 관측 센서를 설치해 변동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체계로,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 대처할 수 있다.
대규모·대심도 굴착공사장과 지하수 유출량이 많은 지역 주변에 우선 설치해 이달 말까지 시범 운영한 뒤 정확성 검증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추가 도입할 방침이다.
시는 도로관리과 내 지하안전관리를 전담하는 '도로혁신TF팀'을 신설해 관련 업무를 보강하기로 했다. 나아가 2027년까지 도로기획관 산하에 '도로관리 혁신센터'를 만들고 인력도 충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10년간 지반침하 원인 중 상·하수관로 손상이 가장 큰 비중(64%)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해 노후 상·하수관로를 집중적으로 정비한다.
현재 서울 시내 30년 이상 노후 관로는 상수관로의 경우 총연장 1만3천201㎞ 중 5천81㎞(38.5%), 하수관로는 총연장 1만838㎞ 중 6천17㎞(55.6%)다.
지하철 역사 주변, 재개발·재건축 등 대형공사장, 도로 침하구간 등 취약지역에서 상수도관 누수 현상을 확인하기 위한 탐사를 월 1회 벌이고 주 1회 순찰해 선제적으로 정비할 예정이다.
하수관로는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에 대한 정밀조사를 연차별로 시행해 우선 정비 대상을 정한다.
굴착공사장(굴착 깊이 10m 이상 및 터널공사)을 대상으로 착공 후 연 1회 했던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는 월 1회 정기 탐사로 강화한다.
GPR 탐사 대상도 공사 중인 곳 외에 준공 1년 이내인 120개소를 추가해 총 309개소로 늘린다.
시가 관리하는 181개 노선을 대상으로 지반침하 집중 발생 시기인 해빙기·우기에 예방 순찰도 확대한다. 최근 10년간 발생한 지반침하의 77%가 3∼4월과 7∼8월에 몰렸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