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정부가 배터리, 바이오 등 첨단산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34조원 이상의 대규모 기금 조성에 나선다. 이는 기존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17조원)의 두 배를 넘어서는 규모로, 국책금융기관을 통한 첨단산업 투자 확대가 목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첨단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최 권한대행은 "해당 기금은 저리 대출과 지분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오는 3월 국회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첨단산업의 핵심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한국의 첨단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지난달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산업은행에 별도의 기금을 설치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정부는 인공지능(AI)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최 권한대행은 "국가 AI 컴퓨팅센터의 가동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고, 이달 중 '국가AI위원회'를 개최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산업별 영향과 대응 방안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출범 1년 성과 및 향후 계획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녹색산업 보증지원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 밖에도 최 권한대행은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조선, 철강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신속하고 과감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