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지난해 10월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에 편입한 것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5/art_17441560771665_4e28c6.jpg)
【 청년일보 】 오는 11월로 예정됐던 한국의 세계국채지수(윅비·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이 내년 4월로 연기됐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의 윅비 편입 시점을 당초 예정된 11월에서 내년 4월로 변경했다.
우리나라는 당초 올해 11월 윅비에 편입돼 1년간 분기별로 편입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었다.
편입 시점은 미루졌지만 편입 완료 시기는 내년 11월로 동일하다. 내년 4월 편입이 시작되지만, 분기가 아닌 매달 편입 비중을 높여 계획된 시점에 편입을 마친다는 것이다.
편입이 연기되면서 당초 기대했던 선진국 자금 유입, 자금 조달비용 절감, 달러화 유입에 따른 고환율 기조 완화 등 편입 기대효과도 미뤄지게 됐다.
정부는 지난해 윅비 편입으로 최소 560억달러(약 75조원)의 자금이 우리 국채 시장에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윅비 편입 연기는 올해 추가경정예산 편성 추진을 공식화하고 재원 조달 방법을 고민 중인 정부로서는 난감한 대목이다. 2년째 계속된 대규모 '세수 펑크'로 적자성 국채 발행이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기재부 측은 이번 편입 시점 변경은 채권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일본 투자자들의 투자 환경 개선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에게 관련 절차 개선을 위한 충분한 준비 시간을 주는 것이 편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제도 안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분기보다 월별로 편입 비중을 확대해야 투자 포트폴리오를 더 수월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고 덧붙였다.
김재환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편입 개시 시점은 투자자 의견을 반영해서 결정한다"라며 "일본은 국채를 주문하려면 우리와 달리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테스트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을 일본 투자자들이 제시했다"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