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영화제 공식 로고 . [사진=칸 영화제 홈페이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6/art_17446151245555_0ed33d.jpg)
▲ 칸 영화제 공식 로고 . [사진=칸 영화제 홈페이지]
【 청년일보 】 올해 한국영화는 칸 국제영화제의 부름을 전혀 받지 못했다. 경쟁 부문은 물론, 비경쟁 부문까지 모든 분야에서 단 한 편도 초청되지 않은 것은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10일(현지시간) 오전 프랑스 파리 UGC 몽마르스 극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78회 칸 영화제 공식 초청작’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올해 칸 영화제 공식 초청작은 총 24편이다.
미국 영화 중에서는 리처드 링클 레이터 감독의 ‘누벨 바그’와 웨스 앤더슨 감독의 ‘피니시언 스킴’, 켈리 레이카트 감독의 ‘마스터마인드’, 아리 에스터 감독의 ‘에딩턴’이 초청장을 받았다.
유럽 영화 중에서는 노르웨이 요아킴 트리에 감독의 ‘센티멘털 밸루’, 프랑스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알파’, 벨기에 장 피에를·뤼크 다르덴 형제 감독의 ‘더 영 마더스 홈’이 칸의 러브콜을 받았다.
한국 영화는 ‘황금종려상’ 같은 주요 상을 놓고 겨루는 경쟁 부문뿐 아니라 비경쟁 부문과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주목할 만한 시선, 칸 프리미어 등에도 초청작으로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국내 작품 가운데 연상호 감독의 ‘얼굴’, 김미조 감독의 ‘경주기행’,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 세 편이 이번 칸 영화제에 출품됐으나, 초청으로 이어지는 데는 실패했다.
특히 경쟁부문은 3년 연속 초청받지 못했다. 지난 2022년 박찬욱 감독의 ‘해어질 결심’과 한국 제작사가 만든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가 마지막이다.
앞서 지난 2000년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과 2019년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등이 주요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류승완 감독의 ‘베테랑2’의 경우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부문에서 상연된 바 있다.
올해 칸 영화제는 5월 13일 개막해 24일 폐막한다.
【 청년일보=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