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 시총 100조원...이용자 1천만명 육박

등록 2025.05.20 16:45:35 수정 2025.05.20 17:11:19
김두환 기자 kdh7777@youthdaily.co.kr

원화마켓 일평균 거래규모 22%↑…코인마켓 거래는 81% 급감

 

【 청년일보 】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가상자산시장 확대로 거래 가능한 이용자 역시 증가해 1천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7개 거래소와 8개 보관·지갑업자 등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조사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 트럼프 정부의 친 가상자산 정책 기대감으로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시장규모가 확대하면서 지난해 말 시가총액은 107조7천억원으로 같은 해 6월말(56조5천억원) 대비 91% 증가했다.


하반기 일평균 거래규모는 7조3천억원으로 상반기(6조원) 대비 22% 늘었고, 원화 예치금도 10조7천억원으로 6월말(5조원) 대비 114% 급증했다.


이에 따른 사업자들의 영업이익 역시 상반기 5천813억원 대비 28% 늘어난 7천41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원화마켓의 일평균 거래규모가 7조3천억원으로 22% 증가한 데 비해 코인마켓 거래는 1억6천만원으로 81%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원화마켓이 7천572억원을 기록한 반면 코인마켓은 126억원의 적자를 냈다.


거래소 종사자는 총 1천862명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18% 증가했고, 자금세탁방지(AML) 업무 관련 인원은 총 207명으로 같은 기간 46%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1천357개(중복 포함)로 작년 6월말(1천,207개) 대비 12% 늘었다.


이중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287종으로 상반기 대비 2종 증가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 중 한국인이 발행했거나 국내 사업자에서 80% 이상 거래되는 이른바 '김치코인'은 97종으로 작년 6월말 대비 5종 줄었다.


하반기 가상자산 신규 상장은 총 127건으로 상반기 대비 19% 감소했고, 거래중단(상장폐지)은 31건으로 54% 감소했다.


가상자산의 가격 변동성(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은 68%로 작년 상반기보다 2%p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주식시장(코스피 18.5%, 코스닥지수 27.4%) 대비 큰 변동 폭이다.


거래업자의 가상자산 이전 금액은 96조9천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30% 증가했다. 이중 사전 등록된 해외사업자 또는 개인지갑 주소로 건당 100만원 이상 이전된 규모는 총 75조9천억원이었다.


가상자산시장 확대로 거래 가능한 이용자 역시 증가해 1천만명에 육박했다.


지난해 말 고객확인의무를 완료한 거래가능 개인·법인 이용자는 970만명(중복 포함)으로 6월말 대비 25%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29%)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27%), 20대 이하(19%), 50대(18%), 60대 이상(7%) 등 순으로 이용자 규모가 컸다.


66%에 해당하는 대다수 이용자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다.


반면 1천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2%(121만명)로 6월말 대비 2%p 증가했고, 1억원 이상 보유자 비중은 2.3%(22만명)이었다.


영업종료 사업자가 늘면서 보관·지갑 사업자의 총 수탁고는 1조5천억원으로 89% 줄었고, 이용자 수는 1천300명으로 99% 급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