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올바른 비만치료제 사용을 당부했다. [사진=식약처]](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105/shp_1737913165.jpg)
【 청년일보 】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비만치료제 사용에 대해 의료전문가 처방에 따라 허가된 용법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식약처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의 경우 비만에 해당되는 환자의 경우에만 의료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허가된 용법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는 초기 체질량지수(BMI) 30kg/m2 이상인 성인 비만환자 또는 BMI가 27kg/㎡ 이상 30kg/㎡ 미만이면서 고혈압 등 1개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성인 과체중 환자에게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임상시험 결과를 근거로 비만치료제를 허가 범위 내로 사용해도 위장관계 이상반응(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과 주사부위 반응(발진, 통증, 부기 등)이 흔하게 나타나고, ▲과민반응 ▲저혈당증 ▲급성췌장염 ▲담석증 ▲체액 감소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일부 의약품은 갑상선 수질암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투여 금기이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해야 하며, 당뇨병(제2형) 환자에서 저혈당·망막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병력이 있는 환자는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더불어 식약처는 비만치료제의 경우 반드시 의사의 처방 후 약사의 조제·복약지도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전문의약품임을 강조, 온라인 등에서 해외직구나 개인 간 판매를 통해 유통하거나 구매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SNS)의 비만치료제 불법 판매·광고 행위를 집중 점검한다.
최근 해당 제품의 품목허가권이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오남용 방지와 부당광고 금지 등을 당부하고, 의약전문가(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병원협회, 한국병원약사회 등)를 대상으로 비만치료제의 허가 범위 내 사용 등을 안내한 바 있다.
이밖에도 식약처는 비만치료제의 올바른 사용방법 홍보를 위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비만치료제를 사용하는 질환 ▲올바른 투여방법 ▲보관 및 폐기방법 ▲투여시 주의사항 ▲이상반응(부작용) 보고방법 등을 담은 안내문(리플릿)을 발간할 계획이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