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과학수사연구원 CI. [사진=국과수]](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5155560482_ac1edd.jpg)
【 청년일보 】 약물의 오남용이 심각한 가운데 최근 5년간 약물중독으로 사망한 사람이 1,110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매년 평균 220명, 약 1.6일마다 한 명이 사망하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물 급성 중독으로 숨진 사람은 총 1,110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성별은 여성이 596명(53.7%), 남성이 514명(46.3%)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특히 사망 원인의 80% 이상이 불법마약이 아닌 전문의약품과 의료용 마약류인 것으로 드러나 일상적인 처방약의 오남용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 유형별로는 전문의약품이 1,399건(50.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의료용 마약류 925건(33.4%), 일반의약품 256건(9.2%), 불법마약류 188건(6.8%) 순이었다.
약물 종류별로는 최면진정제가 740건(28.7%)으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항우울제 614건(23.8%), 항정신병약 349건(13.5%), 항불안제 236건(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사망자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43명(21.9%)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30대 191명(17.2%), 60대 150명(13.5%), 20대 145명(13.1%) 순이었다.
서미화 의원은 “약물중독 사망은 특정 집단이 겪는 문제가 아니라 일상에서 접하는 의약품 오남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며, “보건의료 당국은 의약품 처방 및 복용 관리 강화, 약물 오남용에 대한 대국민 교육 등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