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및 주택 단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3247030101_43a79b.jpg)
【 청년일보 】 서울 지역 내 전용면적 59㎡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9월말 기준 서울 전용면적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5천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거래가격 9억7천266만원 대비 약 8% 상승한 수치다.
구별 상승률을 보면, 전년 대비 강남구가 16.7% 오르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다.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최근 매수세가 집중되는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천706만원에서 올해 20억8천570만원으로 3억원(16.7%) 가까이 급등했다.
특히 개포동(20억5천302만원 → 25억2천137만원)이 22.8% 상승하며 최고치를 기록했고, 삼성동(17억4천944만원 → 20억6천220만원, 17.9%), 역삼동(19억5천859만원 → 22억8천224만원, 16.5%) 등이 뒤를 이었다.
대치·개포·압구정 등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강남구는 법정동 기준 13개 동 중 5개 동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이 20억원을 돌파했다.
마포구(11억9천708만원 → 13억8천788만원, 15.9%)에서는 용강동(13억9천316만원 → 17억90만원)이 22.1%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추이 그래프. [사진=직방]](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3248034842_95ed1c.png)
직방은 마포역 역세권인 e편한세상마포리버파크와 마포용강삼성래미안 등의 거래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송파구 역시 잠실동, 신천동 등 주요 랜드마크 단지들의 거래로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이 13억1천720만 원에서 15억2천588만원으로 2억원 이상 상승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도봉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5억4천894만원으로 지난해(5억3천974만원) 대비 1.7% 상승에 그쳤고, 중랑구는 5억8천722만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금천구(6억913만원)는 1.8%, 종로구(11억3천978만원)는 5.5% 하락했다. 이는 두 지역에서 새 아파트나 역세권 랜드마크 단지보다 상대적으로 저가 단지 거래 비중이 높아지면서 평균 가격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지역의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은 최근 3년간 상승폭이 확대되는 추세다.
2023년 9억419만원에서 2024년 9억7천266만원(7.6%)으로 올랐고, 올해 다시 10억5천6만원(8.0%)으로 상승폭이 커졌다.
직방은 "신축 단지의 59㎡ 평면은 공간 활용도가 높아 젊은 세대와 3인 가구 등 실수요층의 선호가 꾸준하며, 84㎡ 대비 부담이 덜해 강화된 대출 규제와 가격 상승 흐름 속에서 자금 여건에 맞춘 결과"라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