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3분기 가계부채가 또다시 역사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다만 6·27 부동산·금융 규제 대책 시행 이후 주택담보대출 위주 증가세가 이전보다 확연히 줄면서, 전체 증가 폭은 2분기 대비 크게 완화됐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9월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968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말보다 14조9천억원 늘어난 수치로, 2002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2분기(25조1천억원) 역대 최대 증가 폭 대비 약 40%(10조원) 줄어든 셈이다. 금리 인상기 이후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가계신용은 지난해 2분기부터 반등한 뒤 올해 3분기까지 6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계신용은 은행·보험·여신전문회사 등 모든 금융기관 대출에다 신용카드 결제 전 사용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 부채 규모다.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은 1천845조원으로, 석 달 사이 12조원 증가했다. 이는 2분기 증가 규모(23조6천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59조6천억원)은 11조6천억원 늘었고, 기타대출(잔액 685조4천억원)도 3천억원 증가했다.
특히 신용대출 축소가 눈에 띄는 변화로 지목됐다. 연소득 이내로 한도를 줄인 6·27 대책 영향으로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하면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을 크게 눌렀다는 게 한국은행 분석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천3조8천억원으로 10조1천억원 증가했다. 주담대는 10조9천억원 늘었지만 기타대출은 8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도 316조2천억원으로 2조원 증가했다. 증가세 자체는 작년 말부터 이어지고 있지만 속도는 2분기보다 둔화했다. 반면 보험·증권 등 기타금융기관 대출은 1천억원 감소해 대조를 보였다.
한국은행은 3분기 가계신용 증가율이 0.8%에 그친 점, 실질 GDP 성장률이 1.7%로 추정되는 점을 고려할 때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밖에 판매신용(신용카드 결제 전 사용액)은 123조3천억원으로 3조원 늘었다. 민간 소비 회복세와 여름 휴가철 소비 증가, 지방세 납부 등이 겹치며 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