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금일 산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노트북 신제품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를 전격 공개했다는 소식과 한화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는 소식이 주목을 받았다.
넷마블이 자체 기축통화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 'MBX(MARBLEX)'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공개했다. 넷마블은 MBX를 통해 게임의 재미를 강화하고 이용자 참여와 합리적 보상 제공이 선순환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 밖에 네이버와 카카오가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소식과 KT가 AI 영상분석 기반 서비스 '리얼 댄스'를 공개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 "보안성·편의성 강화"…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공개
삼성전자는 28일 '삼성 갤럭시 MWC 이벤트 2022'를 통해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공개.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는 'S펜'을 지원하는 '갤럭시 북2 프로 360'과 5G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갤럭시 북2 프로' 등 2종.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는 일반 소비자 대상 노트북 중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기업용 보안 솔루션 '시큐어드 코어 PC' 규격을 충족하며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 기능 갖춰.
최신 인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해 업무나 영상통화, 게임 등을 더욱 매끄럽고 안정적인 성능 제공. 갤럭시 생태계와의 매끄러운 연결성도 지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는 15.6형과 13.3형 디스플레이 모델로, 전 세계 시장에 4월 출시. 국내에서는 3월 18일부터 사전 판매를 진행하며, 4월 정식 출시할 예정.
◆ "3년 연속 50조 원대"… 한화, 사상 최대 실적 달성
한화는 2021년 매출 52조 8351억 원, 영업이익 2조 9279억 원, 당기순이익 2조 1621억 원 달성. 매출은 3년 연속 50조 원대 기록.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89.0%, 205.6% 상승.
한화솔루션, 한화시스템 등 자회사가 고르게 호실적을 거두며 전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설명.
한화솔루션은 케미컬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 한화생명은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500% 가까이 급증.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디펜스·한화테크윈·한화정밀기계 등 자회사가 모두 고른 실적을 거두며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57%가량 증가하는 등 2015년 이후 최대 실적을 거둬. 한화시스템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역대 최고치 달성.
◆ 넷마블, 자체 기축통화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 'MBX' 공개
넷마블이 MBX 관련 정보 공개. MBX는 클레이튼 메인넷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
MBX 생태계 내 기축통화로는 MBX가, 지갑으로는 MBX 월렛이 각각 활용될 예정. 오는 3월 'A3: 스틸 얼라이브(글로벌)' 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업데이트를 시작으로 향후 다양한 게임과 기술을 연계하고 NFT 및 메타버스로 콘텐츠를 확장할 계획.
넷마블은 MBX 서비스 론칭에 앞서 28일 공식 SNS 페이지를 선보이고, 3월 7일에는 공식 웹사이트 오픈을 통해 MBX 백서 공개. MBX 오픈을 기념해 오는 3월 8일부터 14일까지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DeFi) 클레이스왑에서 드롭스 참여자에게 MBX를 에어드랍 방식으로 지급하는 이벤트 실시.
◆ 네이버-카카오,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네이버와 카카오가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본 정보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정보’ API를 연동해 정보를 제공되며 매일 업데이트.
네이버 검색·지도와 카카오맵에서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 ▲코로나 재택 진료 병원 ▲비대면 진료 병원 등을 검색하면 24시간 전화상담 및 처방이 가능한 전국 7000여 개의 병의원 정보 확인 가능.
네이버에서는 검색 결과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전화상담' 버튼을 누르면 해당 병·의원으로 즉시 연결하는 원 클릭 절차도 구현.
◆ KT, MWC 2022에서 AI 영상분석 기반 '리얼 댄스' 서비스 공개
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 중인 'MWC 2022'에서 인공지능(AI)을 통해 K팝 춤을 즐기고 동작을 배우는 'KT 리얼 댄스' 서비스를 28일 공개.
KT 리얼 댄스는 사용자의 춤 동작이 강사의 시범과 얼마나 비슷한지 AI로 자동 분석하는 것이 핵심 기능.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돼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춤 동작을 촬영하고 분석 결과 받아.
AI가 사용자의 춤 영상을 분석해 강사의 동작과 가장 비슷한 부분을 표시하며, 틀린 동작도 다시 한번 보여줘. 춤 동작에 따른 신체 부위별 운동량과 칼로리 소모 정보도 분석해 제공.
KT는 KT 리얼 댄스를 올해 상반기 중 상용화할 계획. 이후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해 언제 어디서나 춤과 K팝을 함께 즐기는 AI 실감형 서비스로 적용 분야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