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190832/art_15651334281148_ccf760.jpg)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서 정부가 인수·합병 자금 지원 카드를 꺼낸 가운데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 'M&A 인수금융 협의체'가 이달 말 공식 출범한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과 합동으로 이달 말 해외 'M&A 인수금융 협의체'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M&A 인수금융 협의체'는 자금 지원은 물론 M&A 대상 기업 발굴, 컨설팅 등의 역할을 맡으며 글로벌 IB의 한국 지점이 협의체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참여 주체 모두가 협의체 결성에 동의한 상황으로, 글로벌 IB는 M&A 해외 소싱을 맡을 것"이라며 "현재 협의체의 운용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자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M&A 지원 방침을 결정했다.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 조치의 직접 타격을 받을 분야의 체질 개선을 위한 조치다.
M&A 지원 대상에는 창업하거나 사업 재편·다각화 등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신규 진출하는 기업이 포함된다.
이들 기업에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핵심기술 획득이나 공급라인 확보 등을 위한 인수 자금을 지원한다.
M&A 지원 여력은 전용 기금 2조5000억원(기업은행 1조원·수출입은행 1조5천억원)이다. 여기에 2조5000억원 규모의 산업은행 사업경쟁력 강화 지원 자금도 동원된다.
또한, 정부는 M&A 법인세 세액공제에도 나선다. 해외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인수금액에 대해 2022년 말까지 대기업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의 공제율로 법인세 세액공제를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