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의 한 영어유치원.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538551526_5fc3fa.jpg)
【 청년일보 】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거주하는 9세 이하 아동의 정신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최근 5년간 이들 지역 아동의 우울증 및 불안장애 진료 건수가 꾸준히 증가해, 2020년 대비 2024년에는 약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남3구 아동의 건강보험 진료 청구 건수는 2020년 1천37건에서 지난해3천309건으로 상승했다. 전체 5년간 누적 청구 건수는 1만943건이다.
2024년 기준 자치구별 건수는 송파구가 1천44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강남구 1천45건, 서초구 822건 순이었다.
세 자치구 평균은 1천103건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전체 평균(291건)의 3.8배에 달한다.
전국적인 추세도 심상치 않다. 같은 기간 전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진료 청구는 2020년 1만5천407건에서 2024년 3만2천601건으로 증가해, 약 2배 수준으로 늘었다.
이 자료는 우울증(질병코드 F32, F33)과 불안장애(F40, F41)로 분류된 진료 기록 중 심사가 완료된 명세서를 기준으로 정리됐다.
전문가들은 조기 교육 과열 현상이 정신건강 악화의 주요 요인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서울 시내 유아 대상 영어학원(일명 영어유치원)의 분포를 보면, 전체 240곳 중 59곳(약 25%)이 강남3구에 몰려 있다.
이 중 강남구가 25곳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구 21곳, 서초구 13곳 순이다. 이는 서울 자치구 평균인 9.6곳의 2배를 넘는 수치다.
진선미 의원은 "신체적·정서적 발달이 이뤄져야 하는 시기에 과도한 학습 부담과 경쟁 스트레스로 아이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교육부는 영유아 사교육 실태 전수조사를 비롯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