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지난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해킹 사고로 인한 고객 정보 유출사태에 대해 대고객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5844794248_50f145.jpg)
【 청년일보 】 최근 해킹 사고가 발생한 롯데카드의 정보보호 관련 예산 비중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롯데카드의 올해 정보보호(인건비 제외) 예산은 96억5천600만원으로 정보기술(IT) 예산인 1천78억4천400만원의 9.0%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IT 대비 정보보호 예산 비중인 14.2%에서 5.2%포인트(p) 급감한 것이다.
롯데카드는 정보보호 예산 비중의 하락 폭은 8개 전업 카드사 중 가장 컸다.
같은 기간 국민카드는 4.6%포인트(10.3%→14.9%), 현대카드 2.1%포인트(8.1%→10.2%), 하나카드 0.4%포인트(10.3%→10.7%) 정보보호 예산 비중을 늘렸다.
우리카드 -4.4%포인트(18.2%→13.8%), 신한카드 -0.7%포인트(9.2%→8.5%), 비씨카드 -1.3%포인트(11.7%→10.4%), 삼성카드 -3.0%포인트(11.4%→8.4%) 등의 하락 폭보다도 두드러졌다.
MBK가 2019년 롯데카드를 인수한 뒤 단기 수익에 치중하면서 정보보호 투자를 뒷전으로 미룬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번 해킹 사고는 롯데카드가 지난 2017년 발견된 온라인 결제서버 취약점에 보안 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것이 결정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은 지난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보안 패치 업데이트 안내가 2017년 내려왔는데 이를 놓쳤다"고 인정한 바 있다.
금융당국에선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태와 관련해 징벌적 과징금 제도 도입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