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6896983673_eab0fb.png)
【 청년일보 】 2040세대 미혼 남녀의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이 최근 1년여 사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과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 모두 60%를 넘어섰다.
다만, 실제 출산을 위한 조건으로는 여전히 소득과 직장문화 개선, 배우자의 육아 참여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24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만 25∼49세 남녀 2천800명을 대상으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비율은 지난해 3월 55.9%에서 올해 8월 62.6%로 6.7%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결혼 의향도 같은 기간 61.0%에서 64.5%로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2.9%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여성은 48.2%에서 54.4%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더 컸다. 미혼 남녀 가운데 자녀가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지난해 3월 50.0%에서 올해 8월 61.2%로 11.2%포인트나 늘었다. 특히 25∼29세 연령대에서 변화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남성은 66.2%에서 77.3%로, 여성은 34.4%에서 52.0%로 상승했다.
자녀 수에 대한 이상적 기대치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1.8명으로 조사됐다. 현재 자녀가 없는 이들의 출산 의향은 지난해 3월 32.6%에서 올해 8월 40.2%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미혼의 출산 의향은 29.5%에서 39.5%로, 자녀가 있는 기혼의 경우 10.0%에서 11.4%로 늘었다. 특히 20대 기혼 여성의 경우 출산 의향이 20.2%에서 40.0%로 급등했다.
출산에 필요한 조건으로는 소득 개선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올해 조사에서 3월(34.5%)과 8월(34.6%) 모두 '소득이 좀 더 많으면'을 최우선 조건으로 꼽았다. 소득을 제외하면 남성은 '육아휴직 자유 사용'(26%), 여성은 '배우자의 육아 분담'(21.2%)을 두 번째 조건으로 선택했다.
일·가정 양립 인식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다. 본인의 일·가정 균형이 '잘 되고 있다'는 응답은 올해 3월 60.4%에서 8월 62.3%로 올랐고, 배우자의 일·가정 양립도 70.0%에서 70.5%로 소폭 상승했다. 맞벌이 가구가 원하는 최우선 조건으로는 '육아지원제도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가 꼽혔다.
정부의 저출생 대책 우선순위로는 '구분 없는 보편적 지원'(29.8%)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했지만 자녀가 없는 가정'(26%), '결혼하지 않은 청년 세대'(24.3%) 순으로 나타났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