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계 "개정 앞둔 중견기업법 내실화, 산·학·관 협력 강화해야"

등록 2025.10.20 09:47:48 수정 2025.10.20 09:49:11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법·제도·정책 등 관련 연구 태부족 상황 개선 시급"

 

【 청년일보 】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법적 기반인 '중견기업법'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현실과 이론, 정책 개선을 연계하는 산·학·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중견기업계 의견이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이하 중견련)는 지난 1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2025년 추계 중견기업법 상시화 2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현장의 구체적인 수요를 반영한 학계의 심도깊은 이론적 분석과 정책 추진의 주체로서 정부의 강한 이니셔티브는 개정을 앞둔 '중견기업법' 내실화의 핵심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법·제도·정책 등 중견기업 관련 연구는 태부족인 상황"이라면서 "변화된 경제·산업 환경에 걸맞은 새로운 성장 전략의 효과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선 정부 연구 용역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중견기업 특유의 성장 경로를 심도 깊게 기록,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2014년 중견기업법' 시행 이후 2013년 3천846개였던 중견기업이 2023년 5천868개로, 고용은 116.1만 명에서 170.4만 명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많은 중견기업이 세제,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지원 절벽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견기업법에 명시된 선순환하는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중견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제·사회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선 기업·학계·정부가 보다 긴밀한 소통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견기업의 성장과 법적 쟁점'을 주제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에선 '중견기업법의 현황과 과제' 등 현행 '중견기업법'의 한계와 개선 방안에 관한 학계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김대홍 숭실대학교 교수는 "중견기업에 대한 인식이 출현한 1960년대부터 관련 정책 개발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지만, 중견기업 육성 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관련 부처 변경 등으로 정책적 일관성이 다소 미흡했던 것도 사실”이라면서 "정책의 불연속성을 해소하고, 입법 취지에 부합하는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중견기업 육성 방안, 지원 체계 및 실행 주체 등 명문화를 통한 법의 실질적 실행 능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견기업 자본 조달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배승욱 벤처시장연구원 대표는 "중견기업은 시중은행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정책·직접금융에 대한 낮은 접근성으로 자금조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정부·정책금융이 모펀드를 만들고 민간자금을 매칭하는 대규모 '중견기업 전용 사모대출펀드'를 조성, 성장자금을 신속·맞춤형으로 공급함으로써 시중은행 중심 구조를 타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수 건국대학교 교수는 '중견기업 입장에서 본 상법 개정 쟁점' 주제 발표를 통해 "다소 취약한 중견기업의 지배구조는 인적, 물적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출발,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어 온 과정 자체의 필연적 귀결"이라면서 "상법 개정이 중견기업의 재도약을 촉진하는 합리적인 거버넌스 구축의 토대로 작용하기 위해선, 업력, 업종별 중견기업의 현실과 유리된 법적 모호성과 실무적 쟁점을 해소하는 법적 보완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