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CJ프레시웨이는 온라인 상품 유통 규모의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식자재 유통사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 2023년부터 온라인 유통 사업을 본격화한 이래, 오프라인 시장 중심의 기존 식자재 유통 서비스를 온라인에 구현하며 고객 구매 편의 향상에 힘써왔다.
최근 B2B와 B2C 경계가 희미해지는 시장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을 활용해 유통 영역을 확대하는 등이다.
CJ프레시웨이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해 약 20개 온라인 채널에 식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B2C 온라인 유통사업은 최근 3년간 1~3분기 누적 매출 기준 연평균 27% 성장하는 등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츠웰, 아이누리 등 자체 브랜드 상품과 독점 유통 상품 등 가성비와 품질을 고루 갖춘 상품을 선보인 노력이 주효했다.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3분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배 증가하며, 소비자에 기업 브랜드를 알리는 주요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B2B 영역에서는 외식업자를 대상으로 한 플랫폼 유통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외부 플랫폼을 통한 유통 상품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연내에는 자체 플랫폼 '프레시엔' 공식 론칭도 앞두고 있다.
프레시엔은 외식업자를 위한 주문·결제·배송 통합 관리형 플랫폼으로, 거래 효율과 고객 경험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온라인 시장에서는 채널과 고객 유형에 따라 품목별 수요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는 가정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냉동과일, 냉동새우, 어린이 간식류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외식업자 대상 플랫폼에서는 피자치즈, 닭다리살 등 조리용 식자재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CJ프레시웨이가 독점 유통하는 상품들은 B2C와 B2B 채널 전반에서 고른 수요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라텔리 롱고바디'의 토마토홀, 올리브오일 등이 해당한다.
CJ프레시웨이는 다채널 기반 유통 확대와 동시에 온라인 상품 포트폴리오를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객 유형별 상품 추천 시스템 등 맞춤형 거래 환경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객별 선호 상품, 업종별 주문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상품을 제안함으로써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온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옴니채널 역량은 선택이 아닌 필수 경쟁력"이라며 "스마트스토어와 프레시엔을 채널 다각화 전략의 중심에 두고, 식자재 유통 전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디지털 식자재 유통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