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주택시장에서 대형마트 내 문화센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퇴근 후의 삶을 중요시하는 2030세대 '문센족'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대형마트 인근 신규 공급 단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최근 대형마트는 단순한 상업시설을 넘어 문화생활과 자기계발까지 가능한 '생활형 복합시설'로 변모하고 있다.
문화센터에서 영유아 발달 프로그램, 취미, 요리, 피트니스 등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어 젊은 세대들도 퇴근 후 마트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는 추세다.
실제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2025 부동산 트렌드'에 따르면, 주거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입지요인'으로 브랜드나 가격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주거 편의성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이러한 선호도는 시세에도 반영된다.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가 입점한 강서구 마곡동이 대표적이다. KB시세 기준 마곡동 평균 아파트 가격은 트레이더스 입점 전인 작년 12월 12억3천174만원에서 10월 17일 기준 12억7천313만원으로 3.4% 상승하며 강서구 내 1위를 차지했다.
인근 '마곡엠벨리 7단지' 전용 114㎡는 지난 9월 21억5천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반면, 대형마트가 폐점한 지역은 약세를 보였다.
지난 9월 홈플러스 안산선부점이 문을 닫은 안산시 단원구 '안산라프리모' 전용 84㎡는 지난 2일 5억9천900만원에 거래돼, 올 1월 실거래가보다 3천100만원 하락했다.
인근 'e편한세상 선부파크 플레이스' 전용 84㎡ 역시 지난 6월 5억7천500만원에 거래되며 작년 12월(6억6천만원) 대비 8천500만원 내렸다.
한 업계 전문가는 일상 속 여가와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생활 인프라 중심으로 주거 트렌드가 이동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이 문화센터 등 실생활형 프로그램이 결합된 시설을 많이 찾으면서, 분양시장에서도 이러한 단지들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인근 신규 공급 단지에도 수요자들의 눈길이 쏠린다. 인천 부평구 부개동에 들어서는 '두산위브&수자인 부평 더퍼스트'는 지하 2층~지상 25층, 총 1천29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인근에 롯데마트, 홈플러스, 이마트, 현대백화점 등이 있으며, 특히 이마트 부평점 문화센터는 가족형 문화프로그램을 상시 운영 중이다.
경기 김포 풍무역세권에서는 BS한양이 11월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총 1천71가구)를 분양할 예정으로, 홈플러스와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대형 상업시설이 가깝다.
이 외에도 수원 권선구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1149가구), 파주 운정신도시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더 스마트'(552가구), 경북 영주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영주 더리버'(445가구) 등도 인근 홈플러스 이용이 가능한 단지로 공급된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