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8010309503_f4c953.png)
【 청년일보 】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직장인들의 이직 의향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1천467명을 대상으로 이직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1%가 올해 이직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직급별로는 대리급 직장인의 76.2%가 이직을 고려하고 있어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부장급(71.4%), 과장급(70.4%), 사원급(68.2%), 임원급(56.6%) 순으로 이직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을 고려하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더 많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56%)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회사 비전 부재 및 성장 정체(41.4%) ▲업무 역량 성장 기대 어려움(31.3%) ▲복지제도 미흡(26%)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이직 시 현재 직무 및 업종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30.7%가 '유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27.6%는 '직무만 유지한다', 17.2%는 '업종만 유지한다'고 응답했으며, 24.5%는 직무와 업종을 모두 변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 직장인 10명 중 4명(35.2%)은 '이직에 성공할 자신이 없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경기 침체 지속 전망'(61.6%)이 가장 많았으며, ▲채용 공고 부족(58%) ▲경쟁력 있는 커리어 부족(37.6%) ▲경쟁자의 실력 향상(23.8%) ▲국제 정세 등 불확실성(16%)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한편, 이직 계획이 없는 직장인(439명)은 그 이유로 '경기가 안 좋고 불확실성이 커서'(49.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현재 회사에서 경력 쌓기(27.6%) ▲현 직장의 근무 조건 만족(23%) ▲회사 내 인정받고 있어서(22.6%) ▲채용 공고 부족(17.5%) ▲정년 보장을 고려(16.2%) 등의 이유를 들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