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광복절은 과거의 해방을 기념하는 날이자, 청년의 이름으로 시대의 무게를 짊어진 이들을 기억하는 날이다. 윤봉길, 이봉창, 안중근. 모두 20~30대 청년이었다. 학업과 생업, 가족을 뒤로한 채 독립이라는 더 큰 목표를 위해 삶을 걸었다.
1932년 4월,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 폭음이 울렸다. 윤봉길 의사는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죽는다"는 신념으로 물통모양의 폭탄을 던졌다. 당시 나이 24세였다.
물통모양의 폭탄은 흔히 도시락 폭탄으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매헌 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에서 제공된 윤의사 판결문에는 손에 들었던 도시락형 수류탄을 땅에 두고 어깨에 메고 있던 물통형 수류탄을 벗어 그 발화용 끈을 당기는 동시에 단상 근처로 돌진해 단상 좌측 후방으로부터 단상을 겨냥해 수류탄을 투척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봉창 의사는 일본 천황을 향해 거사를 벌였을 때 31세였고, 안중근 의사는 하얼빈 역에서 "꼬레아 우라(대한제국 만세)"를 외치며 30세에 방아쇠를 당겼다.
그들의 나이를 떠올리면, 오늘날 청년이 인생의 큰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시기가 과거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오늘의 청년은 총칼과 제국주의 앞에 서 있지 않다. 그러나 불평등, 기후위기, 지역소멸, 세대 갈등 같은 새로운 도전 앞에 서 있다. 누군가는 "이제 독립운동은 상관없다"고 말하지만, 시대마다 투쟁의 현장은 달라진다. 과거가 나라를 되찾는 싸움이었다면, 오늘은 공동체를 지키고 미래를 열어가는 싸움이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친환경 건축 자재를 만드는 20대 창업가는 쓰레기 문제를 지구를 지키는 사업으로 바꾸고 있다. 지역의 한 소도시로 내려가 폐교를 리모델링해 청년 문화 공간을 만든 30대는, 사람과 문화를 불러들이며 지역 소멸에 맞서고 있다. 빈민지역 아이들의 세상을 바꾸기 위해 중남미로 떠난 청년은 도서관을 짓고 현지실정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며 미래를 꿈꾸게 하고 있다. 총 대신 연필로 평화를 지키는 모습이다.
또한, 한 청년 농부는 기후위기에 맞서 전통 농법과 스마트팜 기술을 결합해 지속 가능한 농업 모델을 만들고 있고 지역의 한 청년 인권활동가는 발달장애인의 노동권 보장을 위해 고용주와 지자체를 설득하며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나 하나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 함께 살아가는 길"을 찾는다는 점이다.
광복절은 우리에게 묻는다. 만약 오늘이 1930년대였다면 나는 무엇을 했을까? 그리고 2025년인 지금,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과거 청년 독립운동가는 나라 없는 삶을 두려워했다면, 오늘의 청년은 공동체 없는 삶을 경계해야 한다.
피와 땀으로 지켜낸 이 땅에서, 더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오늘의 시대적 독립운동이다. 역사는 기억 속에만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안에서, 그리고 미래를 향한 실천 속에서 숨쉬어야 한다.
올해 광복절, 청년의 이름으로 다시 묻는다.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그 길 끝에는 나만의 행복이 아니라, 우리의 행복이 있는가? 우리 세대가 내놓을 답이, 다음 세대의 교과서가 될 것이다.
글 / 박이슬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