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CI. [사진=SK에코플랜트]](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0/art_17530555475303_40dda3.png)
【 청년일보 】 SK에코플랜트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미국 자회사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으로 금융당국의 제재 기로에 섰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고의로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했다고 판단, 검찰 고발과 전 대표이사 해임, 수십억원 규모의 과징금 부과를 금융위원회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의 회계전문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이하 감리위)는 지난주 1차 심의에 이어 오는 24일 금감원의 SK에코플랜트 감리 결과를 논의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해 매출을 부풀린 정황을 포착하고 감리를 진행해 왔다.
의혹의 핵심은 미국 연료전지 자회사 A사의 매출을 과대 계상하여 연결재무제표를 허위 작성·공시했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미래에너지 사업 확장 등을 위한 IPO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높이려는 유인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측은 "미국 자회사가 신규 사업에 대해 회계법인 검토를 받아 과거 회계처리를 한 건"이라며 "해당 회계 처리가 IPO와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성실히 소명 중"이라고 밝혔다.
감리위를 거쳐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서 금감원의 중징계안이 확정될 경우 검찰 수사가 뒤따를 뿐만 아니라, SK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SK에코플랜트의 상장 일정이 지연될 수 있어 파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1조원 규모의 프리IPO 진행 당시 투자자들에게 2026년까지 IPO를 추진하겠다는 조건을 내건 바 있어, 회사 입장에서는 상장 추진에 큰 '난관'에 봉착했다는 평가다.
최근 금융당국은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 메리츠화재 전 사장 등을 검찰 고발하는 등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9일 주가 조작 등 불공정거래는 물론 분식회계 행위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제재를 예고했다. 이윤수 증선위 상임위원은 고의 분식회계 경영진에게 '패가망신' 수준의 과징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대법원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해 무죄를 확정받으면서 금융당국이 이번 사안을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증선위는 작년 말 카카오모빌리티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위반 동기를 '고의'로 봤던 금감원과 달리 한 단계 낮은 '중과실'로 결론 내린 선례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감원 원안은 고의 분식회계로 보고 있으나, 감리위와 증선위에서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 판결 등을 감안해 신중히 판단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