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통신3사 대표들이 일어서서 위원 질의를 듣고 있다. (왼쪽부터)홍범식 LGU+ 대표이사, 유영상 SKT 대표이사,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0371137758_7e3ebd.jpg)
【 청년일보 】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정감사에서 통신 3사 대표들이 잇따라 증인석에 서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올해 초 해킹 피해를 먼저 신고해 여론의 질타를 받았던 SK텔레콤(SKT)은 오히려 '선제적 대응'으로 재평가받은 반면, 뒤늦게 유출 사실이 드러난 KT와 LG유플러스(LGU+)는 부실 대응과 축소 의혹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를 상대로 "통신 3사 모두 해킹 피해를 입었는데 SKT만 제일 먼저 신고해 매를 먼저 맞았다"며 "왜 그렇게 빨리 신고했느냐"고 물었다.
이에 유 대표는 "법적으로 그렇게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KT나 LGU+는 왜 신고하지 않았다고 보느냐"고 추가로 묻자, 유 대표는 "다른 회사의 내부 사정이라 알 수 없다"고 조심스럽게 답했다.
박 의원은 "SKT가 먼저 신고하는 바람에 마케팅 측면에서 불이익을 혼자 다 떠안았다"며 "KT의 위약금 면제 논란도 SKT가 먼저 움직였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본 셈"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질의는 최근 해킹 피해 사실이 뒤늦게 드러난 LG유플러스에 집중됐다. 박 의원은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에게 "7월에 해킹 통보를 받았는데 왜 가장 늦게 사실을 인지했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홍 대표는 "현재까지도 침해 사실이 명확히 확인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요즘 해커들은 로그를 남기지 않는 방식으로 침입하기 때문에 정보가 어떻게 유출됐는지조차 모르는 상황"이라며 "국회 상임위를 무시하는 듯 교묘하게 답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KT 김영섭 대표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KT에서는 최근 해킹으로 인한 무단 소액결제 등 고객 피해가 실제로 발생하면서 여야 의원들의 질책이 쏟아졌다.
최민희 위원장은 "KT 영업점이 SKT 해킹 사태와 위약금 면제를 마케팅에 활용한 사례가 이달 초까지 발견됐다"며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조치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의원은 "이전 국감 때는 괜한 문제 제기인가 싶었지만, 지난 17일 KT의 피해 발표를 보고 축소·은폐 시도 의혹을 지울 수 없었다"며 "무능한 KT의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황정아 의원은 "사태가 수습되면 대표가 책임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압박하며 "피해 고객에 대한 배상과 전 고객 대상 보상안을 구체적으로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김 대표는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는 적극적으로 배상하고,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보상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