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0898689778_c9d555.jpg)
【 청년일보 】 지난달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가 뛰면서 생산자물가가 0.4% 상승했다. 아울러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 SKT 8월 통신요금 할인 등 일시적 요인도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 대비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수는 지난 8월 SK텔레콤 요금 인하 효과에 0.1% 하락했으나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2.0%)과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높아졌다. 공산품은 화학제품(0.5%), 1차금속제품(0.7%)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14.4%)과 산업용 도시가스(5.8%)가 오르면서 1.1% 높아졌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4.0%)와 금융및보험서비스(1.4%) 등을 중심으로 0.4% 상승했다.
세부품목 중에서는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쌀, 상추 등 채소류는 출하 시기에 잦은 강우로 인해 수확과 출하가 늦어졌다"며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명절 수요로 가격이 올랐다"고 전했다.
주택용 전력(14.4%)과 이동통신서비스(35.6%)의 상승 폭도 컸다.
주택용 전력은 7∼8월 하계기간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로 요금이 인하되는 효과가 있었는데, 이 조치가 9월 종료되면서 상승했다. 이동통신서비스는 지난 8월 SK텔레콤의 통신요금 인하 영향으로 올랐다.
SK텔레콤은 해킹 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벌어지자 한 달간 2천만명이 넘는 전체 가입자의 통신 요금을 50% 감면했다.
이 팀장은 "전월 대비로 이동통신서비스가 총지수를 약 0.24%포인트(p), 주택용 전력이 0.07%p 정도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된다"며 "9월 두 품목 상승이 없었다면 총지수는 전월 대비 0.1%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