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어제(6일) 오후 발생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60m 높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유일하게 생존 신호를 보내던 40대 매몰자(44)가 끝내 사망하면서 안타까운 비극이 현실이 됐다.
사고 발생 10여 시간 이상 지난 오늘(7일) 아침까지도 나머지 실종자 5명의 생사와 위치는 여전히 확인되지 않아 구조 작업에 총체적 난국이 이어지고 있다.
울산 남부소방서 김정식 예방안전과장은 7일 새벽 브리핑을 통해 "어제 의식이 있었던 구조 대상자가 구조 도중 심정지에 빠져 오늘 오전 4시 53분 사망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사고 1시간여 만에 구조물과 땅 사이 틈에서 팔 부위가 끼인 채 발견된 인물로, 구조대원들이 추가 붕괴 위험을 무릅쓰고 12차례 이상 접근을 시도하며 진통제 투여와 보온 조치까지 했으나 끝내 숨졌다.
소방 지도의사는 구조 지연에 따른 압궤 손상으로 혈전이 발생해 폐색전증이 유발되거나 내부 출혈이 있었을 가능성 등 복합적인 사인을 추정했다.
이어 "사망자와 함께 발견됐던 1명도 구조가 매우 어려운 상태로, 역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혀 희생자는 최소 2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참사는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의 현장 인원 관리 부실 문제까지 드러냈다. 사고 직후 동서발전은 매몰자 및 구조된 작업자의 신원 명단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수습 초기부터 혼선을 초래했다.
기자와의 통화에서 동서발전 관계자는 "현재까지 구조된 인원과 매몰된 인원의 명단을 신속하게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의 현황 파악 지연 사실을 시인하고 "현장 상황이 복잡해 신원 파악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해명했다.
사고와 관련 정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고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발주처의 현장 관리 능력 부재는 '취약화 작업' 중 붕괴라는 사고 원인에 이어 수습 단계의 혼선까지 초래하며 총체적 난국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고용노동부도 이번 사고와 관련하여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강제 수사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사고 수습 후 책임 소재를 둘러싼 조사가 뒤따를 예정이다.
【 청년일보=이성중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