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 부두.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1957051666_759a0a.jpg)
【 청년일보 】 4월 2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수출품 9개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지역별로는 대미 수출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까지 수출액은 339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18억7천만 달러) 감소했다. 이달 20일까지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와 같았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달까지 두 달간 증가 흐름을 이어왔다. 올해 1월에는 설 연휴 등 영향으로 감소하며 그동안 15개월 증가 추세에 제동이 걸렸다.
이달 20일까지 수출을 주요 10개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0.7%)는 증가했지만 승용차(-6.5%), 석유제품(-22.0%) 등 나머지 9개 품목은 모두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로는 미국으로 수출이 14.3% 줄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관세청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수출이 위축됐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적용하기로 한 상호관세율은 25%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현재 일부 품목에 기본 관세 10%만 적용된 상태다.
하지만 사실상 0%에 가까운 기존의 자유무역협정(FTA) 특혜관세가 무력화되면서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3.4%), 베트남(-0.2%) 등으로 수출도 줄었다. 유럽연합(EU·13.8%), 대만(22.0%) 등으로 수출은 늘었다.
1∼20일 수입액은 340억 달러로 11.8%(45억7천만 달러) 줄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장비(9.8%), 정밀기기(2.9%) 등에서 늘었고 원유(-29.5%), 반도체(-2.0%) 등은 줄었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은 27.9%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일본(3.2%), 베트남(6.3%) 등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했고 중국(-7.6%), 미국(-10.1%), EU(-17.3%) 등은 감소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