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성 뇌졸중 발생 '10년 이상' 앞당겨...일상적 과음 "금물"

등록 2025.11.06 08:37:19 수정 2025.11.06 08:37:19
안정훈 기자 johnnyahn@youthdaily.co.kr

美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에딥 구롤 박사팀 연구
"금주·절주, 모든 형태의 뇌졸중 예방·심혈관 건강에 도움돼"

 

【 청년일보 】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에딥 구롤 박사팀은 6일 미국신경학회(AAN) 저널 신경학(Neurology)에서 뇌출혈 입원 환자 1천600여명의 음주량과 뇌출혈 간 관계 추적 연구 결과, 하루 소주 한 병이나 500㎖ 맥주 2병 정도를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출혈성 뇌졸중을 10년 이상 일찍 겪을 가능성이 크게 상승한다는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롤 박사는 "과음이 더 이른 시기에 더 심각한 뇌출혈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줄이거나 끊는 게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하다"며 "뇌출혈 위험이 비교적 낮아도 음주량을 일주일에 3잔 이하로 줄이면 모든 형태의 뇌졸중 예방과 심혈관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뇌내출혈 또는 출혈성 뇌졸중 등으로도 불리는 뇌출혈은 뇌 내부 혈관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뇌출혈 환자의 최대 50%가 사망하고 30%는 중증 장애가 남으며 1년 뒤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환자는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03~2019년 매사추세츠종합병원에 입원한 뇌출혈 환자 1천600명(평균 연령 75세)을 대상으로 CT(컴퓨터 단층촬영)로 뇌출혈 크기와 위치를 평가하고,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뇌의 미세혈관 손상 여부를 분석했다.

 

또 알코올 14g(355㎖ 맥주 1캔)을 한 잔으로 정의해 하루 3잔 이상을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을 과음자로 분류해 술을 마시지 않거나 음주량이 하루 3잔 이하인 사람들과 비교했다. 전체 참가자 중 104명(7%)이 과음자로 분류됐다.

 

그 결과 과음자들은 비음주자와 비교했을 때 뇌출혈 발생 평균 나이가 64세로 비음주자 평균(75세)보다 11년이나 빨랐다.

 

과음자의 출혈 크기는 평균 70% 더 컸고 심부 뇌출혈이나 뇌실(뇌 속 체액 공간)로 출혈이 퍼지는 형태의 출혈을 겪을 가능성이 약 2배 높았다.

 

또 과음자는 뇌 미세혈관질환으로 인한 뇌 백질 손상 징후를 보일 확률이 3배 이상 높았고, 하루 두 잔 정도 음주도 뇌출혈 발생 시기를 유의미하게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롤 박사는 "뇌출혈은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뇌졸중으로 주요 원인은 뇌의 미세혈관질환"이라며 "이 연구 결과는 과음이 출혈의 심각성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뇌 미세혈관에 장기적인 손상을 가속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입원 당시 과음자들은 혈액 응고를 돕는 혈소판 수치가 더 낮고 혈압이 약간 더 높았다며 이 역시 출혈성 뇌졸중의 심각도와 회복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구롤 박사는 "과음 습관을 줄이면 출혈성 뇌졸중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뇌의 미세혈관질환 진행을 늦춰 추가적인 뇌졸중, 인지기능 저하, 장기적 장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특히 고위험군에서는 금주 등 생활습관 개선을 뇌졸중 예방 전략의 핵심 요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