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원화 가치, 금융위기 이후 '최저'…환율 1천500원대 '경고등'

등록 2025.11.23 09:14:05 수정 2025.11.23 09:14:05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올해 10월 실질실효환율 89.09…2009년 이후 16년 만의 '최저치'
해외투자 쏠림·달러 초강세 겹치며 "내년 상단 1천540원" 전망도

 

【 청년일보 】 지난달 원화 실질 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들어서도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원화의 국제 구매력은 추가로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10월 말 기준 실질실효환율(REER)은 89.09(2020년=100)로 전월 대비 1.44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올해 3월(89.29)보다도 낮고,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8월(88.88) 이후 16년 2개월 만의 최저치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86.63) 수준과도 큰 차이가 없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국가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수로, 100 미만이면 저평가로 간주된다. 한국의 REER은 BIS 통계 대상 64개국 중 일본(70.41), 중국(87.94)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10월 하락 폭 역시 뉴질랜드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원화 약세는 이달에도 이어지고 있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달 1~22일 원화 가치는 2.62% 떨어져 엔화(-1.56%), 호주달러(-1.31%), 파운드(-0.41%) 등 주요 통화보다 낙폭이 훨씬 컸다.

 

박지훈 하나은행 자금시장본부 팀장은 "달러 강세 속에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매수세가 집중돼 원화 약세가 유독 두드러졌다"며 "물가 안정도 실질실효환율을 끌어내리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천500원선을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 환율은 지난 21일 장중 1천476.0원까지 올랐다. 4월 단기 급등과 달리 최근에는 상승세가 추세적으로 굳어지는 양상이다.

 

박형준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12월 FOMC에서 예상보다 매파적이면 달러 강세가 강화될 수 있다"며 "일본의 대규모 부양책으로 엔화 약세가 겹치면 1천500원 방어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NH선물은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 환율 상단을 1천540원으로 제시하며 1천400원대를 '뉴노멀'로 전망했다.

 

위재현 이코노미스트는 "달러 약세가 예상되지만, 해외 주식 투자 쏠림과 대미 투자 확대에 따른 수출기업의 환전 지연이 환율을 더 밀어 올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