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22대 국회의원이 보유한 주택 5채 중 1채가 강남4구에 쏠려있다는 시민단체 분석 결과가 나왔다.
다주택자인 의원도 20%에 달해 신뢰할 수 있는 부동산 정책을 위해 이들의 불필요한 부동산 매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2대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분석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경실련이 올해 3월 공개된 재산 신고 내역을 분석한 데 따르면, 전 의원을 포함한 22대 국회의원 299명 중 234명이 유주택자였다. 이들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소유한 주택은 총 299채로 집계됐다.
보유 주택 299채 중 20.4%인 61채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에 집중됐다.
강남4구 주택 보유자는 국민의힘 소속이 36명으로 가장 많았고, 더불어민주당 20명, 개혁신당 1명, 조국혁신당 1명, 전 국회의원 3명 순이었다.
이들 중 17명은 강남4구 소재 주택을 임대 중이라고 신고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강남4구 유주택자 20명 중 11명이, 국민의힘은 36명 중 4명이 임대를 줬으며, 전 국회의원 2명도 임대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의원 299명 중 다주택자는 61명(20.4%)으로 나타났다.
다주택자 비율은 국민의힘이 32.7%(35명)로, 15.2%(25명)를 기록한 더불어민주당보다 높았다.
국회의원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19억5천만원으로, 국민 평균 부동산 재산(2024년 기준 4억2천만원)의 4.6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실련은 "공직자가 고가·다주택을 보유한 채로 '집값 안정'과 '투기 억제'를 주장하면 진정성과 실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1급 이상 고위공직자에 대해 실사용 1주택 외 토지·건물 보유와 매매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정부가 서민 주거 대책을 제대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