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정부가 지원에 나선다.
11일 중소벤처기업부는 '2026년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의 수요기업 1차 공고를 한다고 밝혔다.
신청 기간은 12일부터 오는 12월 2일까지이며, 선정된 기업에는 컨설팅·기술지원·마케팅 등 3개 서비스를 바우처 방식으로 묶어 패키지 방식으로 지원한다.
이번에는 기업 과제에 따라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제조 소기업 맞춤형 지원(일반) ▲탄소저감 가능성이 큰 기업 대상 혁신 경영 지원(탄소중립) ▲제조 중소기업의 중대재해 예방 서비스(중대재해예방) ▲경영 위기 중소기업의 회생·재창업 등 서비스 제공(재기컨설팅) 등 4가지 유형으로 선발한다.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38억원 증가한 652억원이며, 선정된 기업에는 최대 5천만원 한도 내에서 바우처가 제공된다.
특히 내년에는 비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우대한다.
균형발전과 낙후도에 따라 특별지원지역은 15% 포인트(p), 우대지원지역 10%p, 비수도권 일반지역 5%p 등으로 보조율 우대에 차등을 둔다.
또 신청서 작성 항목을 16개에서 6개로 간소화한다.
현재의 '원클릭 시스템'을 활용해 제출할 수 있는 재무제표와 납세증명서 외에 지식재산권, 인증 증빙서류까지 추가 연계해 기업의 서류 제출 부담을 완화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방의 제조 중소기업은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산업 생태계의 기초"라며 "이번 혁신바우처 사업을 통해 이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