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이한준 LH 사장, "직접 시행으로 '땅장사' 오명 벗어날 계기 마련"

등록 2025.10.14 13:48:03 수정 2025.10.14 13:48:26
김재두 기자 suptrx@youthdaily.co.kr

9·7 공급 대책으로 택지 매각 중단되면서 '교차보전' 구조 붕괴
토지 매각 수입 15조원 미회수 전망...재무안정 방안 논의 착수

 

【 청년일보 】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LH가 직접 시행으로 (땅장사)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결과적으로 LH가 여러 가지 역량이 부족해 오명을 쓴 것에 대해서는 기관장으로서 상당히 송구스럽다"고 말하며, 최근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 변화에 대해 언급했다.

 

정부는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을 통해 LH가 공공택지를 민간에 매각해 주택을 공급하던 기존 방식을 중단하고, 앞으로 LH가 직접 사업을 시행하도록 방침을 바꿨다.

 

이 사장은 "'교차보전' 구조가 이제는 무너지게 됐다"라며 "LH가 땅장사 했다는 오명으로 임직원들의 사기가 상당히 저하됐는데, 이것은 LH가 하고 싶어 한 것은 아니다. 법에 그렇게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교차보전은 LH가 아파트 분양이나 택지 개발 사업 이익으로 공공임대주택 사업 손실을 충당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차보전 구조의 붕괴로 2029년까지의 LH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상 토지 매각으로 회수할 것으로 기대했던 15조원을 회수하지 못할 것으로 이 사장은 판단했다.

 

그는 "토지 매각이 안 되니까 자체적인 수익 구조가 없어졌다"며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LH 개혁위원회와 중장기적인 재무 안정 방안을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재무 구조라든지 인력 충원 문제도 LH 개혁위에서 다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사장은 LH가 공공 시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 충원 방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LH가 공공 디벨로퍼로서 우수 인재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현재의 지역 인재 할당제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지역 인재 할당제에 문제가 있다. LH뿐 아니라 대한민국 공기업들이 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지역 인재 채용을 하다 보니 공기업 단위로 특정 대학에 카르텔이 형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는 좋은데, 범위를 좀 넓히면 좋겠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한편, 윤석열 정부 시절인 2022년 11월 LH 사장으로 취임한 이한준 사장은 임기 만료를 약 3개월 앞두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사표는 아직 수리되지 않은 상태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