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AI, 선택 아닌 생존전략…한국 제조 다음 단계는 '피지컬 AI'"

등록 2025.11.17 11:00:00 수정 2025.11.17 11:00:09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무협, '2026 AX 이니셔티브 컨퍼런스' 개최

 

【 청년일보 】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는 17일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와 공동으로 '2026 AX 이니셔티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이 분석을 넘어 현실 공간에서 직접 판단하고 움직이는 피지컬 AI 기술이 제조업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산업·정책·기술 대응 방향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피지컬 AI가 가속하는 스마트 제조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기업·기관 관계자 450여 명이 참석해 ▲기술 트렌드 ▲산업 적용 전략 ▲정책 방향 ▲현장 실증사례 등을 공유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장영재 KAIST 교수는 국내 제조업이 숙련 인력의 경험 의존에서 벗어나 공장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능형 운영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영환 고려대 센터장은 피지컬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AI·로봇·디지털 시뮬레이션이 통합 작동하는 제조 환경이 필요하며, 데이터 표준화와 검증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주민식 LG CNS 소장은 로봇 제어·설비 예측 등 제조 현장에서 피지컬 AI가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하고, 데이터 품질과 현장 인력의 기술 역량 부족 등 확산의 장애요인도 함께 지적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무협과 고려대학교 융합연구원이 공동 수행한 'AX 우수 사례로 본 AI 도입 효과 극대화 방안'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진은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AI 도입률이 0.1%에 불과한 상황 속에서 데이터 인프라 부족, 전문 인력의 대기업 집중, 높은 초기 비용, 조직 내 공감대 부족 등의 구조적 문제가 제조업의 AI 전환(AX)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연구진은 AI 전환 성공을 위한 ▲AI 전환에 대한 전사적 공감대 형성 ▲전문인력 확보 및 내부역량 강화 ▲투자비용 문제 극복과 장기적 비전 설정 ▲데이터 확보·관리 역량 강화 ▲현장 주도 과제 발굴 및 수용성 확보 등 5대 핵심 요인과 단계적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조선·해양 기자재 기업 파나시아의 '유리관 AI 검사 자동화(검사 속도 2배 향상, 불량 검출률 95%)', 반도체 장비 유통기업 서플러스글로벌의 'AI 기반 장비 추천 시스템', 인터로조의 'AI 물성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 속도 혁신(개발 속도 10배 향상)'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우수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AI 도입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인호 무협 부회장은 "AI는 이제 현실 세계에서 직접 작동하며 제조업의 구조를 새롭게 바꾸는 '생존 전략'이 됐다"면서 "우리나라는 제조 역량과 산업 인프라, 풍부한 제조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피지컬 AI 전환에서 앞서나갈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컨퍼런스에서 제시된 AI 전환 성공 요인을 중소 제조업계에 확산시키기 위해 기업 AI 내재화 컨설팅, AI 선도기업 현장 방문 등 산업 전반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는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