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일보=정승은 기자]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지면서 국민연금 조기수령자가 늘고 있다. 금액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당장의 급한 불을 끄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데 따른 것이다.
28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조기노령연금 수급자 수(누계)는 2014년 44만1219명에서 2017년 54만3547명으로 3년새 23.19% 늘었다.
가장 최근 집계 결과인 지난해 10월 말 기준으로 보면 이 숫자는 57만3626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국민연금 수급자의 약 15%에 해당한다.
![노인빈곤 문제가 한국사회의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청년일보 DB사진]](/data/photos/201901/10202_10176_117.png)
조기노령연금은 수급자가 정해진 수령 개시 나이보다 1~5년 일찍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노후 세대의 소득을 보장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남들보다 먼저 받아가는 대신 수령액이 원래 금액보다 크게 줄어들게끔 설계돼 있다.
조기노령연금은 1년에 6%씩 최대 30%(5년)까지 연금액이 감소한다.
큰 손해에도 불구하고 57만명이나 조기노령연금을 받아가는 건 그만큼 노인들의 경제사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기준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처분가능소득 기준 하위 25% 미만 인구 비율)은 43.7%다. 이는 유럽연합(EU) 국가 가운데 빈곤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라트비아(22.9%)보다도 20%포인트 이상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