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리밸런싱 '속도'…에너지·반도체·AI '선택과 집중' 본격화

등록 2025.05.14 09:32:41 수정 2025.05.14 09:32:48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SK그룹, 계열사 수 감축 주력…198개 집계

 

【 청년일보 】 SK그룹이 에너지와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리밸런싱(사업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이 지난해부터 시작한 리밸런싱의 키워드는 선택과 집중, 관리 가능한 범위(Span of Control), 재무안정성 강화 등으로 압축된다.

 

SK그룹은 선택과 집중에 따라 에너지와 반도체, AI 등 주력 사업에 대한 가치사슬(밸류체인)별 시너지를 강화하고 있다. 그룹에 산재한 사업과 중복 요소를 조정해 비효율을 제거하고 핵심사업 밸류체인을 재설계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취지다.

 

실제로 반도체 분야의 경우,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밸류체인을 대대적으로 정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SK에코플랜트는 전날 SK㈜의 사내독립기업(CIC)인 SK머티리얼즈 산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SK트리켐·SK레조낙·SK머티리얼즈제이엔씨·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자회사 편입으로 반도체 제조 주요 공정에 필요한 핵심 소재 등에 대한 공급 역량을 내재화했다. 아울러 지난해 합류한 SK에어플러스(산업용 가스), 에센코어(반도체 모듈), SK테스(리사이클링)를 더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회사로서의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

 

SK에코플랜트는 기존부터 보유해온 전력·용수·도로 등 기반 시설과 팹(제조공장) 등 반도체 인프라 구축 노하우를 결합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리밸런싱을 통한 SK그룹의 '선택과 집중' 전략은 AI 분야에서도 진행 중이다.

 

SKT가 AI 사업 추진을 리드하는 가운데, SK브로드밴드가 데이터센터를 확보하면서 관련 밸류체인 대열에 합류하는 모양새다.

 

SK브로드밴드는 전날 SK C&C가 보유한 30㎿(메가와트) 규모의 판교 데이터센터를 약 5천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SK브로드밴드는 현재 서울, 분당, 일산 등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며 이번 인수로 총 9개의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게 됐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 인수를 통해 AI 확산과 클라우드 시장 가속화 등 미래 환경에 대비하고 디지털 서비스 분야의 핵심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SK C&C는 전날 사명을 'SK AX'로 변경하고 10년 안에 글로벌 톱10 AI 전환(AX)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SK AX는 인프라 부문에서 SKT, SK브로드밴드 등과 협력해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지난해 11월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법인이 출범하면서 본격적인 닻을 올린 상태다.

 

SK이노베이션은 합병을 통해 자산 105조원 규모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민간 최대 종합 에너지 회사로 거듭났으며, 석유, 화학, 액화천연가스(LNG), 전력,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등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통합 SK이노베이션은 각 사업과 역량을 통합해 다양한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에너지 설루션을 제공하는 '토탈 에너지·설루션 컴퍼니'를 지향하고 있다.

 

SK그룹 리밸런싱의 또다른 키워드는 관리 가능한 범위다.

 

SK그룹은 전반적으로 중복사업 등으로 인한 비효율이 심각하다고 판단하고 계열사 수 감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지난 1일 발표한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SK그룹 계열사는 198개로 집계됐다.

 

SK그룹 계열사가 200개 이하가 된 것은 2023년 8월 201개를 기록한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SK그룹 계열사는 지난해 8월 최대 219개에 달한 바 있다.

 

재무안정성 강화도 리밸런싱의 성과로 꼽힌다.

 

최근 한국신용평가 발표에 따르면, SK그룹의 순차입금은 2023년 말 83조원에서 2024년 말 75조원으로 10% 가량 줄었다. 부채비율 또한 2023년 말 134%에서 2024년 말 118%로 감소세를 보이는 등 재무안정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