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회 전경.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0/art_17534384858416_50803e.png)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의 부산지역 공공 입찰 참여 제한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
지난 몇 주간 부산시의회에서는 현대건설이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사업을 일방적으로 철회한 것에 대한 질타가 해당 상임위 등 여야를 막론하고 현대건설의 행태를 일갈했다.
28일 부산시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임시회의를 열고 '가덕도신공항 계약파기 규탄 및 현대건설 제재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앞서 23일 열린 해양안전위 3차 상임위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원석 의원은 부산시 건설본부를 상대로 현대건설의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입찰 참여 가능성을 언급하며, 부산시의 소극적인 대응을 질타하고, 시 차원의 적극적인 입찰 제한 조치를 촉구했다.
부산시의회의 현대건설에 대한 부산지역 공공입찰 참여 제한에 대한 안건이 본회의에서 부산시의원 46명의 전원 명의로 채택될 경우 부산지역내 현대건설의 입지 및 사업 추진이 큰 타격을 입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원석 시의원은 부산시의회의 결의안에 대해 "현대건설이 국책 사업인 가덕신공항 부지조성 공사의 수의계약 절차를 일방적으로 중단하고 사업 참여를 철회한 것이 이번 결의안을 추진하게 된 주된 이유"라고 밝혔다.
이어 "부산시의회 의원 전원의 서명이 들어간 결의안이 채택될 것"이라며 "만장일치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전 의원은 현대건설이 가덕신공항 사업을 포기한 반면 공사대금 약 2천900억원 규모의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과 고리원전 1호기 해체 사업 등 부산 지역내 수익성 높은 공공사업에 참여하려는 의도는 '이익 우선주의'에 불과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사진=부산시]](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0/art_17534385564621_813d63.jpg)
부산시의회는 현대건설이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공기(84개월)에 대한 이견으로 협상이 결렬, 사업 참여를 포기한데 대해 부산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사업에 대한 무책임한 행위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의안에는 현대건설에 대한 공식 사과 요구를 비롯해 정부 차원의 제재 촉구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산 지역 공공사업에 대한 입찰 제한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부산시의회는 현대건설을 '국가계약법 위반' 업체로 규정하고, 조달청과 국토교통부에 현대건설을 '부정당업자'로 지정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현대건설이 '부정당업자'로 지정되면 최소 1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모든 공공사업 참여가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및 승학터널 등 향후 부산지역 내 추진될 대형 공공사업에 현대건설은 배제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현대건설측은 부산시의회의 움직임에 대해 관망하는 모습이다.
현대건설은 지난 5월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에 불참하기로 한 것과 관련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 필요로 하는 공기를 확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란 입장을 내놓았다.
![종로구 현대건설 본사.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0/art_17534387391824_1a946e.png)
즉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무리한 공기 단축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공항을 이용할 국민의 안전과 국책 사업의 성공을 최우선으로 감안한 조치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사익 때문에 국책 사업 지연이나 추가 혈세 투입을 조장한다는 비난은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본설계도서 제출 이후 지자체와 시민단체로부터 근거 없는 비난을 받았고, 국민 안전을 위한 제안이었음에도 특혜 의혹, 사회적 책임 회피 등 부당한 비판에 직면했다고 주장했다.
현대건설은 사업 지연을 최소화하고 국책 사업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후속 사업자 선정 과정에 적극 협조하고, 정부에 제출한 기본설계도서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한 것이라고도 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현대건설이 부산 지역내 공공사업 제한 여부는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의 '부정당업자' 지정 여부와 부산시의회의 후속 조치에 따라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부산시의회는 국토교통부에 현대건설의 부정당업자 지정을 요청한 상태이며, 조만간 가부에 대한 정부의 결정이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부의 결정과 별개로 부산시의회가 자체적인 입찰 제한 조치를 강구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현대건설의 부산지역내 공공사업 수주 환경은 더욱 불확실해질 전망이다.
한편, 지난 27일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별위원회 위원장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건설이 윤석열 대통령 관저 공사를 뇌물로 제공하고 그 대가로 가덕도신공항 사업을 특혜 수주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김건희 특검의 즉각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