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삼성전자 DX부문이 올해 로봇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 신성장동력을 육성해 지속 발전 가능한 사업구조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삼성전자는 16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제53기 주주총회'를 진행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DX부문장)은 ▲멀티 디바이스 기반 고객 경험 혁신 ▲프리미엄 영역 리더십 강화 ▲미래 성장 모멘텀 강화 등을 포함한 올해 DX부문 사업방향을 발표했다.
먼저, 한 해 5억 대 규모의 제품을 판매 중인 삼성전자는 고객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경험을 느끼고 차원이 다른 가치를 느끼게 할 계획이다.
한 부회장은 "멀티 디바이스 사용 경험을 높이려면 디바이스 에코시스템 확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삼성전자의 다양한 디바이스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고 글로벌 사물인터넷(IoT) 통신표준 규격인 Matter,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등 글로벌 에코시스템과의 전략적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프리미엄 영역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 '갤럭시 S22'는 성능 혁신을 강화해 모바일 경험을 확장하고, 폴더블폰은 더 많은 사용자가 혁신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 프리미엄 주력제품으로 만들어 갈 예정이다.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은 스크린 혁신을 가속화한다. 혁신적인 화질과 다양한 사이즈의 '마이크로LED', 극대화된 화질과 강화된 입체음향의 'Neo QLED TV', 초대형 고화질 사이니지 '더 월',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과 스마트 게임 모니터 등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스크린을 통해 스크린 혁신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생활가전은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모든 제품군으로 비스포크 브랜드를 확대하고 프리미엄 경험을 강조한 인피니트 라인 등 새로운 제품군을 도입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는 한편, 해외 출시를 본격화해 글로벌 가전 시장에서 확고한 경쟁 우위를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네트워크 사업은 국내외 네트워크 투자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증설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북미·일본·인도 등 해외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매출을 확대해 나가는 동시에 자체 개발한 5G 핵심 칩 탑재로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높인다.
미래 성장 모멘텀도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우선 온라인 채널 경쟁력을 강화해 고객 접점을 높인다. 삼성닷컴의 편리성과 혜택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스토어의 연계를 혁신하는 한편 다양한 고객 접점을 통해 여러 세대와 소통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형 사이니지, B2B 전용 모바일, 시스템 에어컨 등 새로운 수요처를 발굴하고 유통채널을 확대해 B2B 사업의 성장도 가속한다.
신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선다. 첫 번째 행보로 삼성전자는 로봇 사업을 꼽았다. 삼성전자는 로봇을 고객 접점의 새로운 기회영역으로 생각하고, 전담조직을 강화해 로봇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다양한 영역에서 로봇 기술을 축적해 미래 세대가 '라이프 컴패니언' 로봇을 경험하도록 앞장선다. AI와 메타버스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기회 발굴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한 부회장은 "회사는 중장기적으로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동력의 육성 발굴도 적극 병행해 지속성장할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며 "기존 사업에서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선제적 제품 출시로 수익성을 확보하고 신사업 분야의 영향력도 조기 확보해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