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차원 보안체계 재정비 시급"...통신·금융권, 잇단 해킹 공격에 '초긴장'

등록 2025.09.24 08:00:02 수정 2025.09.24 08:01:59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통신사부터 금융권까지"…잇단 해킹 공격에 '긴장모드' 전환

 

【 청년일보 】 최근 SK텔레콤과 KT 등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뿐만 아니라 금융권을 겨냥한 사이버 침해 사고가 잇따르자 국내 기업들이 초긴장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일각에선 날로 지능화·고도화하는 '사이버 공격'이 특정 기업만의 문제가 아닌 국민의 일상적 사회·경제 활동으로까지 미치는 만큼, 보안 투자 및 경각심 강화는 물론 촘촘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이 나온다.

 

24일 보안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들어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사이버 위협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지난 4월 발생한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에 이어 최근에는 KT 무단 소액결제와 롯데카드 해킹 사태가 잇따르면서 내부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KT 무단 소액결제의 경우 당초 피해 지역이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일대에 한정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서울 서초구, 동작구 등에서도 피해 사례가 추가되며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경찰 집계에 따르면 지난 22일을 기준으로 KT 소액결제 피해자는 214명, 피해액은 1억3천650여만원에 달한다. 

 

롯데카드 마찬가지로 외부 해킹 공격으로 인해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측은 당초 정보 유출 규모를 1.7GB(기가바이트)로 파악해 금융당국에 보고했으나, 합동 조사 개시 이틀 만에 실제 유출 규모는 200GB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이번 사태를 계기로 범정부적 차원의 정보보호 체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보안 침해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대대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무조건적인 기업 처벌보단 (사이버) 공격 수법이 나날이 치밀해지고 있는 만큼 보안 전문 고급인력 양성, 기술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사이버 위협이 대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들까지 무분별하게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기업에 대한 사이버 해킹은 총 6천447건에 달한다.

 

이중 대기업에 비해 보안투자 여력이 제한적인 중소기업인 경우는 약 82%(5천286건)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각각 8.57%(553건), 3.31%(214건)로 조사됐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중소기업 같은 경우 대기업에 비해 전담 인력 투자 등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정부의 절대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밖에 사이버 해킹 범죄는 단순한 범죄 행위가 아니라 자칫 국가 안보를 흔들 수 있는 중대 사안이란 지적도 나온다.

 

최기일 상지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는 "사이버 해킹 공격이 날로 진화하면서 이른바 '신흥 안보' 위협이 급부상하고 있는 형국"이라면서 "과거의 단순한 물리적 위협뿐만 아니라 사이버 영역에서의 위협도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같은 사이버 공격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지만 현재 시스템 체제상 100% 막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라면서 "현실적으로 잠재적 침해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침해 사실을 경보해주는 시스템 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똑같은 방식으로 침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확실한 안전망을 구축하는 건 물론, 국민들도 이러한 부분에 있어 경각심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