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을 제조AI 허브와 문화도시로"…SK 울산포럼 성료

등록 2025.09.25 13:27:29 수정 2025.09.25 13:27:42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SK∙울산상의, 24일 '제4회 울산포럼' 개최…미래성장 가속화 추진

 

【 청년일보 】 SK와 울산 지역사회가 산업도시 울산을 제조AI(인공지능) 허브와 동남권 지역의 대표 문화도시로 탈바꿈시켜 미래성장을 가속화해 나가기로 했다.

 

25일 SK에 따르면 SK와 울산상공회의소는 전날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2025 울산포럼'을 'CONNECTING 울산: 기술과 문화로 잇다' 주제로 개최했다. 

 

울산포럼은 지난 2022년 SK이노베이션 창립 60주년을 맞아 울산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제안으로 시작됐다. 그동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 실현, 제조AI 허브와 문화도시 구현 등을 주제로 개최돼 울산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울산포럼은 ▲제조AI 허브 울산 ▲지역문화 네트워크 구축 등 2개 핵심 세션을 중심으로 열렸다.

 

포럼에는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김종화 SK에너지 사장 등 SK 최고경영진,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공진혁 울산광역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 이윤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 등이 참여했다. 

 

'제조AI 허브 울산' 세션에서는 울산 중심의 미래 제조AI 사업을 탐색하는 한편 혁신을 위한 메가 샌드박스 구현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세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특임교수는 'AI시대, 혁신과 협력의 필요성'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AI 시대의 가능성과 사회 각 분야에서의 영역을 초월한 협력 및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대승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과 지역기업 담당자들은 대기업과 협업중인 제조AI 전문기업 사례를 통해 울산 제조AI의 미래 모델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어 SK텔레콤, 현대자동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UNIST, 울산광역시 관계자가 참여해 '울산 제조AI' 구축을 위한 메가 샌드박스 방안 관련 패널토의를 벌였다.

 

'지역문화 네트워크' 세션에서는 한국 동남지역의 개성을 살린 다양한 문화 아이템들을 발굴하고, 울산뿐만 아니라 경주와 포항을 포함한 해오름동맹의 연대·연결을 통한 문화도시 구축 시너지 창출 방안을 모색했다.

 

박웅현 TBWA 코리아 조직문화연구소 소장은 울산의 일상과 도시 경관 속에서 발견되는 인문학 관점의 가치와 지역 문화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또 일본 나오시마, 이탈리아 레체 등 도시가 문화관광 중심지로 탈바꿈한 사례 고찰을 통해 울산의 문화도시 변화 가능성을 타진했다.

 

정부와 기업, 학계 관계자들이 참여한 패널토의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랜드마크 아이템 개발, 지역별 개성을 살린 문화 콘텐츠 발굴, 동남권 독자 문화권역 조성을 위한 통합 브랜딩과 교통 인프라 개선 등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클로징 세션에서 "최근 기업과 지역사회는 지역소멸, 기후변화, 지경학적 요인들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제조업도 경쟁력을 잃을 수 있는데 AI가 구세주같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포럼에서 논의된 것처럼 각 기업의 품질, 원가, 안전관리, 의사결정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지금 우리는 AI 기술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다시 회복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의장은 울산포럼의 향후 발전 방향과 관련해 "지역포럼 역시 매력적인 요인이 있어야 하고 거대담론으로만 끝나서는 안된다"면서 "이번 울산포럼은 현재의 문제를 잘 드러내고 해법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는데, 앞으로도 소프트웨어, 콘텐츠 등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접근할 때 울산포럼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