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념치킨 이미지.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0351901035_1888fe.jpg)
【 청년일보 】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가 제품 용량은 줄이고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통령실이 관계 부처에 근본 대책 마련을 지시하며 제동에 나섰지만, 업계에서는 배달 수수료 등 외부 비용 구조가 함께 개선돼야 외식 물가 안정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22일 정부 등에 따르면,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16일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정부가 먹거리 물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일부 치킨 프랜차이즈가 가격을 동결하는 척하면서 중량을 줄이거나 저렴한 부위로 대체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실장은 "치킨은 빵·라면 등과 달리 중량 표시 의무 대상이 아니어서 '꼼수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며 "맛이나 서비스 개선 없이 가격만 올려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슈링크플레이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이 같은 정부 기조는 이미 국정감사(이하 국감) 현장에서 불거진 '교촌치킨 슈링크플레이션 논란'과 맞물려 있다.
지난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송종화 교촌에프앤비 대표를 상대로 "교촌 순살 제품의 중량이 700g에서 500g으로 줄었고,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혼합해 판매하고 있다"며 "가격은 그대로 2만3천원이라면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에 송 대표는 "중량을 줄이려는 의도는 아니었지만, 고지가 충분하지 못했던 점은 인정한다"고 답했다.
실제로 교촌은 홈페이지 '영양 및 중량 정보'란에 변경 사실을 기재했지만, 배달앱이나 오프라인 매장 등 주요 판매채널에는 별도의 공지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교촌은 2018년 업계 최초로 배달료를 유료화하며 '2만원 치킨 시대'를 연 브랜드로,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그런 만큼 더 신중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이라도 홈페이지, 배달앱, 매장 등 전 채널을 통해 변경 사실을 명확히 안내하라"고 요구했고, 송 대표는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공정거래위원회를 향해서도 책임 있는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치킨은 국민 외식 메뉴 중 하나로,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품목"이라며 "공정위가 '소관이 아니다'는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압박에 치킨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원재료와 인건비, 배달 수수료 등 외부비용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본사와 가맹점 모두 한계 상황에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제9대 협회장으로 당선된 나명석 웰빙푸드 회장도 최근 논란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교촌치킨이 용량을 많이 줄인 것은 개인적으로 무리수였다고 본다"면서도 "다만 동종업계에 있다 보니 절박해 어쩔 수 없이 가격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치킨업계 관계자는 "최근 튀김유 등 주요 원부자재 가격이 오르고, 인건비와 배달 수수료 등 각종 비용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업계는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맹점과 긴밀히 협의하며 가격을 최대한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본사는 원재료 인상분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는 등 상생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근본적으로는 배달 수수료 등 외부 비용 구조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외식 물가 안정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가격과 중량 모두를 동시에 규제하는 것은 기업의 자율적인 경영활동을 과도하게 제한해, 오히려 제품 품질 저하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관련 규제가 강화될 경우 실무적·심리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도 "교촌이 부정적 여론을 감수하면서까지 중량을 줄이고 부위를 변경한 것은 가맹점주들의 불만이 누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가맹점이 떠나면 본사 매출이 줄고, 결국 본사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20년 이후 최저임금이 꾸준히 상승하고 배달 플랫폼의 중개 수수료 부담이 가중됐다"며 "언론에서는 플랫폼 수수료 문제를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대책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