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한전원자력연료 업무협약(MOU)체결식. (오른쪽부터) 현대건설 윤영준 사장, 한전원자력연료 최익수 사장 [사진=현대건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416/art_16504336700876_f61a0e.jpg)
【 청년일보 】현대건설은 원자력 사업 다각화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현대건설과 한전원자력연료는 20일 ‘국내·외 원전해체 및 사용후핵연료 사업 동반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전원자력연료 본사에서 열린 이날 서명식은 현대건설 윤영준 사장과 한전원자력연료 최익수 사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건설과 한전원자력연료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국내·외 원전해체 사업 ▲사용후핵연료 임시 및 중간저장시설 ▲원자력연료 건전성 평가 ▲방사성폐기물 처리 등의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앞으로 해당 분야의 기술 및 정보 교류, 사업 동반 진출 등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국내 원자력발전소 업계에서 시공 최대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현대건설과 국내 유일의 원자력연료 설계‧제조‧서비스 전문회사인 한전원자력연료와의 협력으로 원자력 산업의 신시장인 원전해체, 사용후핵연료 및 소형모듈원전(SMR) 분야에 큰 시너지가 발생할 전망이다. 이에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위상이 한번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현대건설은 작년 11월 미국 홀텍사의 소형모듈원전(SMR) 글로벌 독점권을 확보한 데 이어 지난 3월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원전해체 시장에 진출한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한전원자력연료와의 양해각서 체결은 기존 원자력발전소 시공 뿐만 아니라 원자력 사업 전반에 걸쳐 사업 다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특히, 한전원자력연료가 보유한 폐기물 저감 기술 및 사용후핵연료 안전성 평가 기술을 통해 국내 원전해체 사업 수행 시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건식저장시설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선도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서도 핵연료 개발 및 관련 기술서비스 제공 등 그 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대건설은 1978년 고리1호기를 시작으로 월성1·2호기, 한빛1~6호기, 신고리1~4호기, UAE 바라카 원전 등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많은 원전 건설 수행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고수준의 기술력과 다양한 경험으로 지난 50여 년간 원전사고 ‘제로’ 업적을 달성한 바 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