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달 발표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11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대폭 하락한 결과가 나왔다.
6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1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19.4포인트(p) 대폭 하락해 전국 평균 72.1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00.2에서 73.3으로 26.9p 급락했고, 비수도권은 89.6에서 71.9로 17.7p 하락하며 전국적인 시장 위축을 예고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111.1→84.8, 26.3p↓), 경기(97.1→69.7, 27.4p↓), 인천(92.3→65.2, 27.1p↓) 등 전 지역에서 상당한 낙폭을 보였다.
해당 대책은 서울 및 경기 일부지역을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규제지역을 대폭 확대했고,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강화, 전세대출 이자상환분 DSR 반영, 스트레스 금리 상향 등 강력한 금융 규제도 함께 시행했다.
주산연은 "이러한 고강도 규제에 더해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로 인해 매수세 감소와 시장의 단기적 위축이 불가피해 당분간 분양 시장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역시 수도권 규제의 여파와 '똘똘한 한 채' 현상 가속화로 다주택자의 비수도권 주택 매도 증가 우려가 커지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이 전망됐다.
지역별 하락폭은 울산 35.7p(107.1→71.4), 강원 34.4p(90.0→55.6), 충북 33.3p(88.9→55.6), 전남 27.8p(77.8→50.0)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북은 유일하게 8.3p(75.0→83.3) 상승을 전망했다.
11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6.2p 하락한 100.0을 기록했다.
이는 대출규제로 인한 수요 위축과 함께 신규 주택 건설물량 감소로 공사비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7p 하락한 79.7로 집계됐다.
주산연은 "집값 상승세 둔화 영향으로 사업자들의 신규 공급 계획이 보수적으로 전환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8.9p 상승한 98.5로 나타났다.
최근까지 이어진 분양가 상승세와 대출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이 청약 대신 관망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됐다.
주산연은 "이번 대책의 LTV 강화 등으로 단기적 아파트 구매수요 위축은 예상되지만, 서울 강남 3구 등 핵심지역은 대출규제의 영향이 제한적이어서 2~3개월 뒤 상승세를 다시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분양시장 위축이 신규 분양 물량 감소와 기존 주택 매물 잠김 현상을 초래해 전월세 가격 상승을 자극할 우려도 제기된다"라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