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노벨 화학상과 물리학상의 수상자는 모두 인공지능 발전에 기여한 학자들에게 돌아갔다.
화학상의 경우,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지난 9일 미국 워싱턴대 교수인 데이비드 베이커와 영국 구글 딥마인드 CEO인 데미스 허사비스, 그리도 구글 딥마인드 수석 연구원인 존 점퍼를 선정했다.
이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새로운 단백질을 찾고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하는 도구인 '알파폴드2(AlphaFold2)'를 개발하며 3명이 공동수상하게 되었다.
물리학상의 경우, 노벨위원회는 "물리학과 컴퓨터 과학의 경계를 허물고, 인간의 핛브 과정을 모방한 인공신경망 연구를 통해 머신러닝을 반전시킨 공로"라고 설명하며 수상자로 존 홉필드, 제프리 힌튼을 선정하면서 AI는 다신 한 번 세상에게 AI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각인시켜주었다.
인공지능(AI)이 노벨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지만, 이러한 혁신적인 사건은 긍정적인 면모와 함께 심각한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키고 있다. AI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힌튼 교수는 수상소감 온라인 회견에서 "물리학자로서 저는 통제할 수 없고 이해 범위를 파악할 수 없는 것에 큰 불안함을 느낀다"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노벨 물리학위원회 의장인 엘런 문스 또한 "머신러닝은 엄청난 혜택을 가져왔지만 빠른 발전은 우리의 미래에 대한 우려 역시 불러일으켰다"며 AI의 놀라운 성과와 더불에 AI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AI가 노벨상을 수상함에 따라 노벨상 수상 기준에 대한 의문점도 존재한다. 기존의 노벨상 수상 기준이 인간의 창의성과 노력을 중시해왔던 것과 달리, AI의 경우 그 기여를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AI는 인간 연구자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며,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발견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이 과연 노벨상 수상에 합당한 '독창적인 발견'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충족하는 것일까? AI는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며, 결과를 해석하는 인간의 창의적인 사고 과정을 모방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AI가 노벨상을 수상했다면, 그 공로는 AI 자체에 있는 것인가, 아니면 AI를 개발하고 활용한 인간 연구자들에게 있는 것인가? AI는 도구일 뿐이라는 주장과, AI가 독자적인 지적 능력을 발휘했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만약 AI가 노벨상 수상의 주체라면, 수상의 기준과 절차 또한 기존의 틀을 벗어나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AI의 노벨상 수상은 '지적 능력'과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재정의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과연 AI는 인간과 동등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AI가 이룬 과학적 발견은 인간의 창의성 없이는 불가능한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AI의 수상 기준에 대한 논의는 AI의 발전 방향과 인간의 미래에 대한 심오한 성찰로 이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AI의 노벨상 수상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있어 획기적인 이정표임이 분명하다, 허나 그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그리고 많은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는 다양한 부분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AI의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책임감 있는 기술 개발과 함께, 인간 중심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수적이다.
AI 노벨상 수상 기준에 대한 명확하고 공정한 기준 마련은 앞으로 AI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AI가 과학 발전에 기여하는 바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AI와 인간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는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AI 기술의 긍정적인 면을 극대화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8기 전진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