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산호를 지켜야 바다도 산다…우리의 대응은?

등록 2025.07.06 13:00:00 수정 2025.07.06 13:01:28
청년서포터즈 8기 황성은 sungeunni88@gmail.com

 

【 청년일보 】 현재 바다 온도가 높은 수치를 기록해 화제가 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Copernicus)는 지난 5월 전 세계 해수면 온도를 평균 20.79도로 기록하며, 역대 두 번째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따뜻한 바다는 이산화탄소 흡수력을 감소시키고, 해양 생태계 위기를 초래할 수 있어서 장기적 위험 신호로 풀이된다.

 

게다가 2023년부터 심화된 산호 백화 현상은 상승한 해수면 온도와 직결된다. 글로벌 백화 현상은 전 세계 산호초의 약 84%가 파괴되는 최악의 수준이다.

 

그렇다면 해수면 온도의 상승과 산호 백화 현상은 어떻게 직결돼 있을까?

 

유럽이 발표한 해수면 온도는 역대 두 번째 최고 수준의 온도이기도 하지만, 사상 최장기간이다. 관련해 코페르니쿠스는 "2023년 이후 해양은 비정상적인 고온 상태에 진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해수면 온도 상승의 원인에는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 증가 그리고 엘니뇨 효과, 빙하 감소가 있다. 해수면 온도 상승이 유지된다면 해양 생태계는 불안정해지며,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호초의 백화가 발생 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해양 생태계의 붕괴를 암시하는 것이다.

 

산호초는 지구의 수중 열대우림이라고 불린다. 전 세계 해양 생물의 약 25%가 서식하는 곳으로 모든 생물이 산호초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산호초에서 플랑크톤이 나오며, 플랑크톤 - 소형 어류 - 중형 어류 - 대형 어류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의 기초를 생산한다.

 

따라서 산호초의 붕괴는 먹이사슬의 붕괴로 이어지며, 어업 자원과 생물의 다양성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게다가 산호초는 파도, 해일로부터 해안선과 사람을 지켜주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한다.

 

5억명 이상이 해양 식량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산호초와 관련된 관광업, 의약품 개발 등 경제적 잠재력이 높은 존재다. 이렇게 중요한 산호초는 해수면의 고온 상태가 지속되면 스트레스를 받아서 백화를 유발하는 조블랜트를 배출한다. 다량의 조블랜트가 배출돼 현재 산호 백화 현상이 심각해지는 것이다.

 

전 세계에서 산호초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호주와 미국에서 '슈퍼 산호'로 고온에 잘 견디는 유전자형 산호를 인공 배양 후 이식하는 산호 품종을 개발했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으로 생태계에 또 다른 위험을 줄 수 있다는 것과 막대한 비용이 아쉽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른 노력으로 산호초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관리 강화를 하는 것이다.

 

산호초가 다량 분포된 곳을 보호구역으로 선정해 어업, 관광, 선박, 운항 등 활동을 제한하고 적극적인 감시, 단속, 생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아직은 실험 단계인 '해수 표면 냉각'도 주목하고 있다. 바다의 표면에 해양 냉각 시스템을 설치해 단기적으로 백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우리는 이상 기후라는 것을 알고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서 텀블러를 쓰고,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고, 자전거를 타고,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해양의 열대 우림인 산호초가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지 못한다.

 

해양의 열대우림이라는 것은 산호초가 바다의 건강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존과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노력들이 모이면 산호초 보호에 실제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화학 성분이 없는 화장품을 사용하면 옥시벤존, 옥티녹세이트 같은 성분이 없어서 산호초에 해를 끼치지 않아 큰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스노클링이나 다이빙 시 산호를 밟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기념품으로 판매되는 산호 제품 불매 운동 역시 중요하다.

 

이 밖에도 세제, 샴푸 등 생활 하수로 흘려 보내는 것들의 유해 성분을 잘 확인하는 등 이러한 습관 하나 하나가 산호초를 살리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직접적인 행동들도 중요하지만, 관심을 가지는 것부터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우리 미래를 위해서 산호초에게 관심을 갖고 보존해 나가기를 바란다.
 


【 청년서포터즈 8기 황성은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