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오젬픽(GLP-1) 다이어트의 이면

등록 2024.06.08 13:00:00 수정 2024.06.08 13:00:04
청녀서포터즈 7기 박세희 serip12@naver.com

 

【 청년일보 】 멧갈라(Met gala)를 아시나요? 아래 사진 속 인물은 해외 유명 셀럽인 킴 카다시안입니다. 킴 카다시안은 2022 멧갈라에 참석했습니다. 그 유명한 마릴린 먼로의 드레스를 입고 말이죠.

 

킴 카다시안은 이 드레스를 입기 위해 3주 동안 사우나복을 입고 운동하는 동시에 설탕과 탄수화물을 전혀 먹지 않는 엄격한 식단과 강도 높은 운동을 통해 7kg를 감량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킴 카다시안의 다이어트 비밀은 '오젬픽'에 있었습니다. 오젬픽은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제2형 당뇨병 치료제입니다. 핵심 성분은 GLP1-RA 세마글루타이드입니다.

 

 

오젬픽은 2017년 미국 식품의약국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이후 2021년, 같은 성분인 GLP1-RA 세마글루타이드를 이용하여 체중 감량 및 체중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비만치료제를 '위고비'라는 이름으로 FDA에 허가받기도 했습니다.


우리 몸은 음식을 섭취하면, 위장관 L 세포에서 인크레틴 호르몬을 혈액으로 분비시킵니다. 이 호르몬은 췌장 베타 세포를 자극시켜 인슐린이 분비되게 하여 혈당을 조절하죠. GLP-1이 대표적인 인크레틴 호르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GLP-1의 작용 기전을 이용하여 인류는 GLP-1 RA (GLP-1 수용체 작용제)를 만들어냈습니다. 제2형 당뇨 치료제, 즉 혈당 강하를 목적으로 말이죠. 그러나, GLP-1 RA 중 하나인 세마글루타이드 (semaglutide)가 식욕 감소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며 오젬픽과 위고비가 비만 치료제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오젬픽의 원리는 이렇습니다. GLP-1 RA 세마글루타이드 (semaglutide)가 천연 호르몬보다 더 오래 체내에 남아있다는 점에 주목해 체내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포만감을 유도하고 위를 비우는 속도를 늦춰 식욕 억제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나, 킴 카다시안 등의 할리우드 유명 셀럽들이 오젬픽 다이어트를 시작하자 이는 엄청난 파급력을 일으켰습니다. 문제는, 오젬픽과 위고비가 당초 제2형 당뇨의 치료제로 개발됐다는 것이죠. 이 약품들의 주요 성분인 GLP-1 RA는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의 소화 기계 이상 반응을 일으키고, 일명 오젬픽 페이스라 불리는 피부 처짐, 주름 증가뿐만 아니라, 췌장염, 당뇨망막변증, 갑상선 종양, 암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마야르 에트미넌 교수와 모히트 소디 연구원은 국제 학술지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 성분인 '세마글루티드', '리라글루티드'와 췌장염, 장폐색, 위무력증 등 사이에 강한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 세마글루티드, 리라글루티드 사용자들은 다른 성분의 비만 치료제와 비교했을 때 췌장염 위험이 9.09배 높았으며 경련, 복부 팽만감, 메스꺼움, 구토 등을 일으키는 장폐색 위험은 4.22배, 구토, 메스꺼움, 복통 등이 나타나는 위 무력증 위험은 3.67배 높았습니다.


또한,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할 점은 오젬픽 다이어트로 인해 오젬픽과 위고비의 약물 오남용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젬픽은 위고비와 달리 당뇨병 치료제이기 때문에 당뇨병 치료 목적이 아닌 다이어트 효과를 기대하며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에 대한 장기적, 대규모 연구가 아직까지 없습니다.


특히 위고비의 경우, 체중 감소 효과를 기대하며 비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미국 독극물 통제 센터 (Posion control center, 이하 PCC) 발표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오젬픽과 위고비의 주요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 오남용 관련 신고는 2941건으로 2019년 대비 15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PCC는 위고비를 처방 받은 고도 비만 환자들이 보다 빨리 살을 빼기 위해 더 높은 용량을 투여하는 오남용 사건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오젬픽의 매출은 278억1천만 덴마크 크로네로, 전년 대비 42%가 늘었으며 위고비는 93억7천700만 달러로 106%가 급등했습니다.


이렇듯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오젬픽과 위고비에 대해 오프라벨 처방이 만연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벨기에 정부는 약품 부족을 이유로 오젬픽을 다이어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한시적으로 금한다는 왕실 법령을 게시하기도 했습니다.


PCC 관계자는 "환자들이 약물 복용 지시를 따르지 않고 권장된 것보다 높은 용량을 투여하면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고했습니다.


미에 대한 기준은 정해져있지 않지만 극단적인 다이어트에 목을 매는 수많은 셀럽들과 대중들이 손쉽고 효과적인 다이어트 효과를 기대하며 오젬픽과 위고비에 열광하고 이로 인한 품귀 현상으로, 당뇨병 환자들이 당뇨 치료제를 처방받지 못하는 모습은 우리가 추구하는 진정한 아름다움이 무엇인가에 대해 깊이 고찰하게 합니다.
 


【 청녀서포터즈 7기 박세희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