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 페어 트레이딩으로 안정적 수익 노린다

등록 2025.02.22 08:00:00 수정 2025.02.22 08:00:06
청년서포터즈 8기 전준호 joonho128@hanyang.ac.kr

 

【 청년일보 】 시시각각 급변하는 암호 화폐 시장에서 전통 금융권에서 오랫동안 활용되어 온 시장 중립(Market-Neutral) 전략인 ‘pairs trading(쌍 거래, 이하 페어 트레이딩)’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암호 화폐(코인) 간의 상대적인 가격 차이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이 기법은, 암호 화폐 시장 특유의 높은 변동성 속에서도 리스크 노출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수익 기회를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페어 트레이딩 전략은 원래 주식 시장에서, 업종이나 비즈니스 모델이 유사한 기업들의 주가가 서로 밀접하게 연동된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된 기법이다. 두 종목이 일반적으로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일시적으로 괴리가 생기면, 저평가된 종목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종목을 공매도하여 주가 차가 좁혀질 때 차익을 얻는 방식이다.

 

최근 들어 암호 화폐 시장에서도 이 기법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암호 화폐는 아직까지 투기적 수요, 뉴스 이슈, 규제 발표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에 따라 가격 상관관계가 시시각각 변하기 쉽다. 그럼에도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처럼 대표적인 코인들이 동반 상승·하락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아, 단기적인 가격 왜곡이 발생했을 때 페어 트레이딩을 활용하면 추가적인 수익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페어 트레이딩의 예시를 살펴보자. 예를 들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평소에는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가정하자. 어느 날 특정 호재로 인해 이더리움이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했고, 반면 비트코인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되었다면, 이 상황에서 이더리움을 ‘고평가’ 코인으로, 비트코인을 ‘저평가’ 코인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이더리움을 공매도하고, 비트코인을 매수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두 코인 간 가격 관계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하면, 이더리움 가격이 내리거나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 가격 차이가 좁혀진다. 그 차익이 곧 페어 트레이딩 전략의 수익이 된다.

 

암호 화폐 시장에서 페어 트레이딩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핵심은 바로 '시장 중립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페어 트레이딩은 전체 시장 방향성에 대한 노출을 최대한 줄이고, 두 자산 간의 상대적 가격 차이에 집중함으로써 불안정한 암호 화폐 시장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게 돕는다.

 

또 한 가지 장점은 365일 24시간 쉴 새 없이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주요 거래소에서는 여러 코인에 대해 꾸준한 거래량이 확보되어 있어, 거래자가 언제든지 페어 트레이딩 포지션을 진입하거나 청산할 수 있다. 이는 거래 시간이 제한된 전통 금융시장과 비교했을 때 큰 이점이다.

 

마지막으로, 주식 시장에서는 페어 트레이딩이 주로 특정 업종이나 기업 두 곳에만 집중되는 경우가 많지만, 암호 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BTC)처럼 시가총액이 큰 코인부터 여러 신생 알트코인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코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페어 트레이딩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리스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유동성이 낮은 알트코인의 경우 매도·매수 호가 차이가 커서 급격한 가격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도 상관관계 자체가 시시각각 변동할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과거에는 함께 움직이던 코인이라도, 특정 프로젝트 업그레이드나 시장 심리가 변하면 상관관계가 급격히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포지션을 조정하는 등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다.

 

암호화폐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페어 트레이딩과 같은 헤징(hedging) 전략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금융기관들이 암호화폐 서비스를 속속 도입하고, 전 세계적으로 규제 체계가 정비됨에 따라, 트레이더들은 더욱 안정적이고 투명한 환경에서 페어 트레이딩을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처럼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페어 트레이딩은 자산 간 상대적 가치에 집중해 위험을 제어하면서도 수익을 꾀할 수 있는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통 금융시장에서 오랜 시간 동안 실효성이 입증된 페어 트레이딩이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보편화될 가능성이 커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청년서포터즈 8기 전준호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